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술논문] 미중시대 북한의 국제정치 읽기와 대응: 선군, 병진과 그 이후
김정은 체제의 국제정치 읽기와 대응은 소위 병진노선의 등장과 후퇴로 요약할 수 있다. 경제 건설에 주력하면서도 핵과 인공위성으로 상징되는 자주권은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북한은 2013년 상반기 미중 양국의 리더십 교체 기간을 활용해 대대적인 자주 캠페인을 벌였으며 3월 30일에는 소위 병진노선을 제시했다. 병진노선은 경제 중시라는 긍정적 요소도 내포하고 있으나 북한의 비타협적 위기 조성 국면과 맞물리면서 '핵자주' 요소가 전면에 부각될 수밖에 없었다. 북한은 대국들을 상대로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고 김정은 체제의 자주성을 과시하고자 했다. 북한은 중국 국력의 급성장에 따른 미중시대의 도래를 예민하게 감지하면서도 미중관계 자체는 경쟁과 대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았다. 북한은 한반도
#김정은 #병진노선 #자주외교 #미중시대 #신형대국관계 #김성배
저자: 김성배(국가안보전략연구소) | 출판사: 국제학연구소 | 발행연도: 2014
저자: 조은일(한국국방연구원) | 출판사: 국제학연구소 | 발행연도: 2021
저자: 장영희(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 출판사: 성균중국연구소 | 발행연도: 2022
저자: 신종호(독립연구자) | 출판사: 극동문제연구소 | 발행연도: 2025
저자: 최관식(경운대학교) | 출판사: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발행연도: 2022
저자 : 김성배 | 출판사: 서울 : 국제학연구소, 201403
저자 : 著者: 日高義樹 | 출판사: PHP研究所
저자 : 著者: 中逵啓示 | 출판사: 早稻田大學出版部
저자 : 심호남 | 출판사: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 : 연구책임자: 전병곤 ;공동연구자: 현승수,김상기,이기태,홍석훈,김한권,전재성,임수호,조충제,오윤아 | 출판사: KINU(통일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