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민 구술을 통해 본 북한 민속의례의 변화와 계승
이 글에서는 북한의 민속의례의 현재적 양상을 탈북민들의 구술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남한과의 소통 지점을 발견하여 분단 극복을 위한 문화 통합 방안에 활용하고자 한다. 북한의 민속의례는 사회주의 생활방식 지침에 따라 변질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렇지만 민속의례의 영역에서 본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지점도 존재할 것이다. 그 지점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추적하는 가운데 70년의 분단으로 비롯된 민속의례의 차이와 소통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통일을 위한 문화 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북한에서 민속전통에 대한 정책은 노동당의 기본 노선에 따라 변화를 맞았다. 북한 정권이 들어선 초창기는 사회주의적 보편성과 민족적 특수성을 문화 이론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민속에 대한 관심도...
[학술논문] 북한 민속의 지속과 변화-한국 거주 탈북민의 명절과 일생의례를 중심으로-
...있는 생활 민속으로 그 기능과 의미가 중요하게 작동하였다. 한국사회로 이주한 탈북민의 전통 명절 민속과 일생의례는 북한사회에 비하여 축소되거나 변환되었다. 이것은 북한사회가 가족과 친족, 이웃공동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사회라는 점에서 한국사회 이주 후 민속의 기저 토대가 해체된 점이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국사회의 풍요로운 물질생활이 북한 가족에 대한 죄책감을 자극하며 역설적으로 전통 명절 의례를 축소, 지우는 조건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탈북민의 한국살이는 현재 여성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일상의 명절화라는 새로운 민속생활이 생성되고 있다. 탈북여성이 민속 의례의 핵심 의미를 한국사회의 일상 생활양식과 융합하며 실용적이고 유연한 새로운 민속을 생성하고 있는 현상에 대하여 앞으로 후속 연구가 요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