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의 상장례(喪葬禮) 변화 연구 — 1960년대 민속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이글에서는 1960년대에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민속조사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북한의 상장례 풍속의 변화를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북한체제 상부에서 시달되는 사회주의 생활방식의 요구가 주민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 수용되었는지도 살피고, 국내의 상황과의 비교를 통해 상장례에 담긴 정신문화의 소통 지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1960년대 북한의 민속조사 자료에서 파악할 수 있는 상장례 풍속은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사회주의 국가 체제에서 전통 상장례의 폐해로 지목한 미신적 요소, 허례허식적인 요소들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교주의적인 영혼관에서 유래한 명정쓰기나 혼백을 내는 절차는 현대적 장치인 사진으로 대체가 되었지만 인간적인 정리와 고유의 영혼관, 내세관에서 기인한...
[학술논문] 남북 문화 소통을 위한 북한지역 상장례의 Visual-DB화 방안
1949~1968년 북한민속조사자료는 기존 민속자료의 문화권별/시기별 공백을 채울 수 있는 자료이며 본 연구에서 이를 바탕으로 시도하는 Visual-DB화는 미시사적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중요한 것은 통일을 전제한 통일문화 방안 연구의 자료이자 도구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는 점이다. 기존 북한 민속자료의 방대한 성과들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북한 민속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남북의 민속문화를 이해하는 기반이 될 수 있으며;북한 생활문화의 변화 과정과 실태 파악을 위한 미시사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정리 및 분석하는 도구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북한의 상장례는 관의 주도로 여러 절차를 배제하고자 했으나;실제로 북한 주민이 실행했던 상장례에는 유교적이거나 미신적인 것이 다수 포함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