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실화문학’의 민중성 연구 - ‘사실’과 ‘허구’ 사이의 해석적 진실을 중심으로
...한다. 북한문학 또한 현실의 반영이 아니라, 문학적 상상력의 산물이다. 북한의 실화문학은 실재하는 인물과 사건을 기초로 하여 창작한 문학이다. 북한에서는 실화문학을 현실에 기반하면서도 작가의 창조성이 발휘되는 문학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시기성과 기동성’을 특징으로 거론하고 있다. 실화문학은 북한의 동시대 현실 속에서 산출되기에 민중주의적 관점에서 북한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해석해낼 수 있다. 논자는 ‘사실과 허구’가 긴장하고 있는 북한 실화문학을 통해 북한문학에 대한 적극적 해석과 징후적 독해를 시도했다. 이를 통해 북한문학이 상상하는 문학의 한계와 문학의 효용성을 규명해보려 했다. 북한문학은 정치적 쟁점을 다루는 프로파간다적 성격이 짙다. 그 핵심에 수령형상문학과...
[학위논문] 북한의 문예정책과 구비문학의 활용 양상 연구
...<용비어천가> 등의 악장, 1970년대의 민중극, 탈춤, 민중가요 속의 민요 등도 정치적으로 도구화 한 예이다. 이들 장르들은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국신화나 북한의 구비문학은 국가주의적인 시각에서, 민중극.탈춤.민중가요 등은 민중주의적인 시각에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은 서로 다르다.
민중적인 차원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한 것은 열린 구조이며, 즉흥성을 지닌 장르라는 점 때문에 선택되었다. 열린 구조와 즉흥성은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서로 나눔으로써 정부에 대한 저항의식을 적극적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민중의식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학위논문] 강희남 목사의 민중 통일론
강희남 목사의 민중통일론에 관한 이 논문은 그에 관한 책 『한 목사의 삶과 사상』 과『민중주의』 에 등장하는 강희남 목사의 통일론을 통해서 오늘의 분단 된 한반도의 민족모순과 기본모순을 살펴보고 일제와 한국 전후사를 통한 분단의 원인과 지금까지의 통일운동을 돌아보고자 하였다 강희남 목사는 역사와 통일의 주체는 민중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민족이 고통과 고난을 당할 때 마다 그 중심에 민중이 있다 일제 치하에서 분단 이후에 독재의 상황에서 생산의 주체인 민중이 사회의 중심에서 변두리와 주변으로 소외되었다 역사가 시작 된 이래 민중은 항상 멸시와 천대를 받으며, 새 역사의 거름과 새로운 씨앗이 되어 삶의 맥을 이어왔다 그래서 강희남 목사는 자신의 몸을 삶과 역사의 한 복판에 던지며 민족의 분단과 그 속에서 울부짖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