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4 · 3 사건 당시 교회의 역할
본고는 제주 4 ․ 3 사건 당시 제주 지역의 천주교회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과 그에 대처한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 검토한 글이다. 4 ․ 3 사건은 해방 후 정치사회적 이념과 가치관이 상충하고 한라산 무장대와 국가공권력인 군 ․ 경 토벌대 사이에 무력 충돌이 빚어지면서 수많은 사람이 희생된 사건이었다. 이 사건에 대한 교회의 인식과 교회가 당한 피해실태, 교회가 행한 선무 ․ 구호 활동 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4 ․ 3 사건 당시 제주 천주교회는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충돌과 폭력, 주민 희생의 위험지대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교회의 골롬반 선교회 신부들은 미국 군인들에게 민심과 민정을 전달하고 교회 신도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도 하였다. 골롬반 선교회 신부들은 한결같이 제주도 사태를 남북한
[학술논문] 제주4·3사건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본고는 기존연구에서 잘 활용되지 않았던 「제주도인민유격대 투쟁보고서」와 판결문 등 대중운동 및 무장투쟁의 주체와 관련된 사료를 중심으로 4·3 당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의 실상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한 글이다. 이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결과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대중운동과 무장투쟁 주체세력을 중심으로 한 제주4·3사건의 전개 양상을 객관적으로 서술하였고 많은 새로운 사실을 발굴할 수 있었다. 1947년 ‘3·1사건’ 이후 전개된 각 지역별 대중운동, 1948년 ‘2·7투쟁’의 새로운 실상을 정리하여 4·3무장봉기의 발발 배경을 이해하였다. 무장봉기 결정 과정에서 경비대 9연대원 동원과 제주읍내 공격으로써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