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방위비분담 현황과 과제 분석: 이론과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에서는 미국과 방위비분담 협상을 실시할 때마다 상당한 비판여론이 대두되었지만, 한국이 미군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는 어느 정도의 방위비분담은 불가피하다. 북한이 핵미사일을 개발하여 한국은 언제든지 공격할 수 있는 현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국민들은 이러한 필요성부터 정확하게이해할 필요가 있고, 정치지도자들은 그 필요성에 관하여 확신을 갖고 국민들을설득 및 선도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한국은 방위비분담에 관한 제반 제도를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번제9차 방위비협상에서도 한국은 나름대로 상당한 제도적 개선에 합의하였는데,합의에 그치지 말고 실제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한국이 제공하는 방위비분담액은 모두 한국이 직접 집행하도록 하여 현금으로 미국에게제공되는 것이 없도록
[학술논문] 한미동맹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과 함의 —군사동맹의 경제이론 모형을 중심으로—
...적용하여 동맹의 형태를 주로 경제적 동기나 경제학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공공재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한미 군사동맹에 의해 공급되는 안보(security)서비스의 적정규모(최적 공급량)와 군사동맹의 효과를 분석하고 향후 한미동맹의 상호 보완적 성격의 강화와 한국군에 의한연합방위 주도의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동맹관계에서의 방위분담 문제에대한 올슨(Olson)과 제크하우저(Zeckhauser)의 선구적 연구가 발표된 후 많은경제학자들이 군사동맹을 순수공공재(pure public goods)인 경우로 가정하고 공공경제학(public economics)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군사동맹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도 군사동맹에 대한 대표적인 현대경제학 이론인...
[학술논문] 미 대선 이후 한미동맹 대응 전략 연구: 트럼프 1기 분석을 통한 2기 전망 및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트럼프 행정부 1기 대외정책을 분석하고 2기를 전망하며, 한미동맹의 주요 현안에 대한 한국의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위비 분담금, 주한미군 주둔, 전작권 전환, 확장억제, 대북정책, 한미일 협력 등 주요 동맹 현안을 중심으로 트럼프 1기와 2기의 예상 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트럼프 1기에서의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 주한미군 주둔 문제, 전작권 전환, 확장억제, 대북정책, 한미일 협력 등의 동맹 현안을 분석하여 트럼프 2기에서의 정책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국방부의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는 트럼프 2기에서도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주한미군은 중장기적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셋째, 전작권 전환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