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북 시기 신고송의 문필 활동
...활동기, 전후 기행문, 농업협동조합 답사기에 걸친 오체르크 5편, 개인 회고와 신년․송년 단상을 거쳐 남한 ‘해방’ 전략 전술, 북한 현실 찬양으로 이어진 수필 23편이 그들이다. 수필에서는 북한 사회주의의 승리와 남한의 패배라는 도식을되풀이했다. 셋째, 신고송의 비평 낱글 52편을 찾았다. 연극예술 비평45편에다 정론 5편, 번역 비평과 좌담 1편씩을 더한 숫자다. 그 중심인연극예술 비평에서는 이론비평부터 북한 연극예술사, 당대 실천비평, 소련․중국 예술단 공연평, 인형극평, 영화비평까지 이어졌다. 북한 사회주의 현실주의 연극의 중심 비평가로서 압도적인 자리를 확인할 수있었다. 이 글에서 찾은 작품을 더해 새로 갈무리한 재북 시기 신고송의 문필은 낱책 11종 12권, 낱글 157편이다...
[학술논문] 북한의 독일 문학 번역: 쉴러의 「빌헬름 텔」을 중심으로
...일제 강점기에 네 차례, 해방 이후 남한에서 서른두 차례, 북한에서 최소 세 차례 이상번역되어 공시적, 통시적으로 비교 분석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다. 우선 북한의 세계문학과 외국문학, 번역에 대한 이해를 살펴본 후 쉴러와 그의 문학에 대한 평가가 남북한에서 각기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북한의 「빌헬름 텔」 세 번역본에 대한구체적인 번역 비평을 하였는데 이때 남한과 북한의 번역본의 차이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더불어 북한의 번역본을 살펴봄에 있어 문학 및 번역 이론과 실천 사이의 간극 또한 살펴본다. 실제로 북한의 문학 이론과 이를 반영하는 번역본의 서문과 후문들은 정치적, 이념적, 교조적 색채가 강하지만, 고전을 실제로 번역했을 때 번역본은 이러한 색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특히 완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