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수사기관과 정보기관의 법집행 및 정보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사례는 과거 비민주적 국가정보기관의 사생활침해와 감시라는 단편적인 인식의 차원을 넘어, 21세기에 들어 변화하는 안보환경과 국가기관이 국가안보활동과 관련된 여러 중요하고 의미 있는 문제들을 함축하고 있다. 세계화, 정보화와 같은 새로운 안보환경의 등장은 국가 법집행 및 정보체계의 대응방식에서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북한, 중국, 테러세력, 초국가 범죄 집단, 다국적 기업 등 다양한 국가 또는 비국가행위자의 위협을 받고 있으므로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맞추어 적응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국의 사례를 통하여 국가안보와 관련된 법집행기관과 정보기관의 임무와 역할, 기능을 미국의 사례를 통해 점검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국은 9.11 테러를 겪으면서 변화된 21세기...
[학술논문] 대테러 법집행상황에서의 형법상 외환죄의 적용 가능성
최근 테러방지법이 통과되어 시행되고 있지만 대테러 활동에 대한 법집행과 범죄수사 부문에 대한 규정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 미국은 대테러와 관련된 법체계에서 정보활동과 범죄수사 활동이 균형 있게 규정되어 있는 것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테러 발생 시 법집행과 국가 수사권 운용에 대해서 다소 소홀히 다루어 졌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에서 테러가 발생하거나 또는 해외에서 한국 국적자에 대한 테러 발생 시 현행법상 기존 법제를 통해 국가 수사권을 운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기존 형법상의 ‘외환의 죄’장 등을 적용하여 대테러 수사를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외환의 죄’를 활용하여 북한은 물론, 국제 테러조직을 적국, 또는 대한민국에...
[학위논문] Configuring contractual carbon right by informed consent for DPRK forest communities
...탄소 재고를 유지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기 때문에 북한에서 기존 사회주의 법률시스템을 건드리지 않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접근법이 될 수 있다. 탄소권 보유자는 FPIC에 근거하여 법적 조치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북한의 탄소 거래를 활성화시키는 토대로 활용될 수 있다. 당사자간 계약에 의한 탄소권의 개념에 따라 파리 협정이 규정하는 법집행의 투명성이 북한 사회 전반에 확산될 경우 산림탄소거래가 북한 전체지역에서 시행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ntroduces contractual carbon right by informed consent that has been specifically configured for DPRK...
[학술논문] 대북정책 관련 법률의 법적성질과 상호관계 - 남북교류협력법;남북관계발전법 및 북한인권법을 중심으로 -
...고차원적인 방정식문제로 격상되었다. 즉 남북교류협력법, 남북관계발전법 및 북한인권법 각각에 규정된, 남북교류협력, 남북관계의 발전, 북한인권이라는 입법목적과 그리고 평화통일이라는 공통적인 입법목적이 반드시 상호유기적이고 보완적인 선순환 관계에 있기보다는 오히려 대립 갈등 내지 상충하는 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북한과 관련된 정책입안, 입법활동 및 법집행에 있어서 혼란을 가중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북한 관련 법률들의 그 각각의 법적성질을 비롯하여 그 상호관계의 설정이 법리적으로 제대로 규명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법리적인 규명 작업이 향후 남북관계에서의 경제협력 등 남북교류협력을 제고시켜 남북관계를 발전시키고 북한주민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증진시킬 수 있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