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국민소득과 통일경제
...남북교류 정책 그리고 통일경제에 대한 접근은 북한의 경제규모와 경제구조를 대변하는 국민소득 추정에서 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북한의 1인당 GDP의 기존추계방법을 소개하고 비교적 자료가 정확하고 이용이 용이한 보건지표를 활용하여 북한의 경제력을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HRI 북한 GDP 추정모형’은 보건지표(HealthIndicator)를 활용하여 북한 GDP를 추정한다. HRI 추정모형의 특징은 첫째, UN 등 외국의 구호기관에서 검증된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보건지표를 사용한다. 특히 영아사망률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여 장기적인 시계열뿐만 아니라 단기적인 경기변동에 대한 설명력을 높였다. 둘째, 북한과 경제발전 수준이 유사하다고 평가되는 저개발국가의 개체특성을 고려하여 북한GDP...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설문조사를 통해 본 북한의 모성과 신생아 건강관리 실태
...북한에서경험한 산전진찰과 임신관리, 출산과 응급대처 및 산후관리의 모성보건 영역의 현황과 모유수유 실태, 신생아정기예방접종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북한의 모성과 신생아 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북한의 현실에 적합한 산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산전진찰의지역적 확산 뿐 아니라 산모에게 요구되는 필수 검사들을 임신 초기부터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질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국제기구를 통해 보고된 북한의 모자보건 지표들이 신뢰성과 정확성에 대해서 지속적인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직접모자보건 지표를 조사하여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는 연구는 제한된 상황에서 북한의 모자보건 현황을 좀 더제대로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학술논문] SDGs 지표를 활용한 체제전환국의 유형 분석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연구방법론: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SDG Index and Dashboards’로서 42개 체제전환국을 포함하며;분석 시점은 2015년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계층적 군집분석과 상관분석을 활용한다. 연구결과: 계층적 군집분석 결과;SDGs에 따른 체제전환국의 유형은 '전반적 우수형';'보건지표 미흡형';'환경지표 미흡형';'사회지표 미흡형';'전반적 미흡형' 등 총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북한은 '전반적 미흡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소득 수준과 SDGs 성과도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지만;동일 소득 구간에서 국가별 성과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