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세계보건기구(WHO) 가입과정과 1950년대의 사업성과
The Republic of Korea(ROK)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have done many projects successfully from 1949, in which the government of First Republic joined the WHO.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ROK and the WHO have not been studied very much so far. The main purposeof this research, which could be done by the support of WHO, is connected with three questions. First research point would be
[학술논문] 해방 이후 남북 의학교육체계의 성립과 발전 — 이용설과 최명학의 생애와 의학인식을 중심으로
...데 기여하였으며, 이후 1948년 9월에는 세브란스의과대학 학장에 취임하여 남한의 대표적인 의학 교육기관의 수장이 되었다. 최명학은 함경남도인민위원회의 부위원장이자 보건국장으로서 함경남도 보건위생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1945년 11월 함흥의학전문학교 재건을 담당하게 된 이후에는 의학교육에만 전념하였다. 좌우대립의 심장부에서 보건행정을 책임졌던 이용설은 우익 보건행정의 이론가이자 실천가의 삶을 살았고, 최명학은 교육자로서 교육행정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교육행정가로서 두 사람의 활동은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진행되었다. 세브란스의과대학 학장으로서 이용설은 비교적인적 자원이 풍부한 상황에서 교수 충원과 시설보완을 진행할 수 있었으며 국가의 간섭이나 통제를 받지 않았다. 반면 함흥의과대학 학장으로서 최명학은...
[학위논문] 北韓 保健醫療政策의 變遷過程에 關한 硏究 : 政策의 持續과 變化를 中心으로
北韓 保健醫療政策의 變遷過程에 關한 硏究 政策의 持續과 變化를 中心으로보건행정학 전공 서 장 원지 도 교 수 조 현 북한은 해방 이후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사회주의국가의 보건의료제도와 유사한 무상치료제 의사담당구역제 예방의학 고려의학과 신의학의 배합 등 국가주도의 보건의료정책을 추진해왔다. 북한 정권을 수립한 김일성은 이와 같은 무상치료제 등을 근간으로 주민들의 건강을 국가가 전적으로 책임지는 공산주의적 시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사회주의 보건제도의 우월성을 자랑하기도 했다. 하지만 북한 보건의료정책의 이면에는 보건의료의 주체사상화를 통한 정권의 안정과 체제유지라는 정치적 의도가 내재되어 있기도 하였다.북한의 보건의료정책은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김일성의 유일체제 완성과 정치·경제적 안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