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보육 정책 및 현황
In order to resolve the decline in population due to low birthrat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expanding its free child care policies with an increased budget. In anticipating the effects and problems of our system, it will be worthy of attention to referto the child care systems of other countrie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past and present policie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hild
[학술논문] 북한의 농업협동화시기 국가-마을 관계 연구
...위해 전통적 관념에 입각한 노동, 마을운영을 시도하며 마을의 새로운 주도세력을 배제하고 자신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저항은 같은 마을내에 거주하던 사람들에 의해 제압되었다. 주로 제대군인, 피 학살자 유가족, 인민군 후방가족, 외부 이주민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마을의 주도세력들은 새로운 농법을 농업협동조합에 적용하여 농업생산량을 높였다. 그리고 여성의 노동을 동원하기 위한 보육시설과 근대적 교육기관을 주도적으로 설치하여 여성의 사회진출을 보장하고 근대적 교육을 받은 새로운 세대를 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적인 미신이나 관념을 극복하기 위해 근대적 과학을 보급하여 보건위생을 강조하고 과학적 사고를 전파하여 전통적 마을질서를 무력화 시켰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북한의 마을은 국가에 의해 장악되었다.
[학술논문] 북한의 유아보육법제에 대한 고찰
...북한의 유아보육법제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은 향후 남북 간의 유아보육법제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을 대비한다는 측면에서 시의성이 크다. 남북한 유아보육법제는 이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① 국가 책임 강조, ② 무상보육체계 확립, ③ 이원적 행정체계라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① 북한의 경우 남한에 비해 체제이념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② 남한의 경우 보육시설 이용에 있어서 보호자의 선택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고 있는데 북한은 그렇지 않다는 점;③ 보호자의 범위에 남한은 ‘사실상 보호양육자’를 포함하고 있으나 북한은 부모와 같이 혈연관계 및 여성의 성 역할을 전제로 규정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 ④ 남한의 경우 보호자의 참여권이 강조되고 있는데 비하여 북한은 이러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 점...
[학위논문] 통일시 남북한 영유아 보육제도 통합방안 연구
...문화풍습에 익숙한 보육교사를 통일 이전부터 미리 양성해서 예비인력으로 확보하고 있다가 북한지역으로 파견해서 운영해야 한다. 남한의 보육프로그램을 북한지역에도 그대로 적용하려면 보육시설과 환경이 남한 수준으로 개선되어야 하는데, 비용 문제로 북한지역의 모든 보육시설을 한꺼번에 현대화할 수는 없으므로 급식 및 위생시설부터 먼저 개선하고 나머지는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도록 보육시설 개선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남한의 보육프로그램을 북한 영유아들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재정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북한지역 보육시설을 현대화하고, 북한지역으로 파견할 보육교사 예비인력을 양성하며, 북한 영유아들에게 적용할 보육프로그램 개선안을 마련하려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므로 통일 이전부터 기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