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존재론적 안보와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북중 ‘전략적 협력’
...‘자력갱생’의 위협으로 인식하게 하였고, 이에 대응한 핵 능력 강화 및 중국과의 협력을 선택하게 하였다. 중국 역시 미국의 봉쇄전략과 자국의 ‘강대국’ 정체성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북한을 전략적 완충지대로 활용하여 존재론적 안정 확보에 나서게 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단순한 물질적 이해관계의 조정을 넘어, 각국이 내면적으로 느끼는 실존적 불안과 정체성 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나타난다. 즉, 북한은 ‘사실상의 핵 보유국’ 정체성을 통해 체제 정당성을 재확인하고 국제적 고립을 극복하려 하고, 중국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자전적 서사를 바탕으로 미국 견제에 대응하며 자국의 존재론적 안보를 강화하려는 복합적 전략을 전개한다...
[학술논문] 복합적 위협인식과 유보된 수용: 한국의 대중 외교·안보 전략을 중심으로
...군사적 성장과 팽창을 마주하는 국가는 이에 위협인식 (threat perception)을 느끼고 자국의 국내적 혹은 국제적 균형전략을 추진한다. 하지만 한국은 군사적으로 급격히 팽창하는 중국에 이러한 행동을 취하지 않을뿐더러 여전히 협력을 지속해야 할 동반자라고 주장한다. 간헐적으로 중국 위협론이 제기될 뿐이다. 본 논문은 기존의 위협인식이론을 재해석한 복합적 위협인식모델(complex threat perception model)을 기반으로 한국의 대중 외교·안보 전략이 유보된 수용 (reserved accommodation)-즉 수용은 하되 위협인식이 더 악화 될 경우 수용을 철회하고 균형에 나서는 전략-이라는 주장을 편다. 한국의 대중 위협인식은 경제적 및 외교적 기회에 대한 기대감과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