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지 시대 한국 개신교의 전쟁과 평화에 대한 이해
This thesis analyses the most popular Korean Protestant magazines “The Youth” and “The Christian News” during the colonial era, in order to examine the Korean Protestant understanding of war and peace of the time. This war, utilizing modern scientific knowledge for military weapons, was an unprecedented disaster that forced Korean Protestants to realize and acknowledge the importance
[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 아동희곡의 주제의식 연구 -『아동문학』을 중심으로
...다뤄지고 있는 주제는 경쟁과 협력의 관계다. 북한은 전후의 폐허를 빨리 복구하고 재건하기 위해 운동을 벌이면서 ‘경쟁’ 개념을이용한다. 해당 작품들 중 집단의 경쟁을 다룬 <우리는 소년 단원>, <나란이 선해바라기>는 개인의 도덕성과 집단의 윤리, 집단들 간의 화합과 협력 문제를 안고 있는데, 목표 달성을 위해 부당한 수단과 방법을 저지르는 아동의 잘못을 비판하면서 경쟁과 협력의 조화로운 관계를 제시한다. <토끼>, <온실>, <잃어진 선반기>는 아동이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여 집단 또는 전체에 끼치는 피해와 고통을 다루는데, 장난과 놀이를 즐기거나 개인의 감정을 앞세우는 개인주의가 비판당하거나, 아동의 노동이 개인 차원을 넘어국가...
[학술논문] 탈북 디아스포라 고려인 소설 연구
... 두려워할 수밖에 없는 불행한 삶을 그리고 있다. 셋째, 중앙아시아에서의삶의 어두운 면을 포착한다. 다른 고려인 작가들의 작품이 고려인들이 이룬 성취에 주로 집중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강제이주를 형상화하는 것에서도 차이를보인다. 부당한 정책에 대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고려인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고향에 묻힐 수 없는 존재로서 고려인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다. 탈북 고려인 작가들은 자신들이 거부했던 북한과 비슷한 상황의 소련에서, 쉽게 동화될 수 없었을 것이고, 그로 인해 다른 고려인들과도 거리감을 느꼈을 것이다. 그들은 다른 한민족 디아스포라 작가들과 달리 모국과도 의식적으로 괴리된 상태에 놓여 있음으로 인해 이중의 경계인이 된다. 그런 특성 때문에 북한과소련의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학술논문] 공공의 적, 북한은 섬멸되어야 한다! 한미군사훈련의 ‘언론’ 담론을 통해 본분단체제의 이해
...당시와 지금은 내용이 많이 바뀌었고 냉철하게 분석해보면 단순한 방어용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설득과 회유를 통해 부당한 질서가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주요 언론사의 사설과 칼럼을 분석했다. 국내 언론이 이 훈련을 어떻게 규정하고, 원인으로 제시하며, 특정한 방식의 해결책과 윤리적 판단을 요구하는지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동원된 담론전략을 확인했다. 한국사회가 이 훈련을 왜 당연하게 받아들이는지, 다른 대안적 질서를 상상하지 못하는지, 또 왜 논리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지 등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서였다. 한반도는 일상적인 전쟁의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 전 세계 최대 규모이면서 핵무기를 포함하는 군사훈련은 일부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엄연한 위협이다. 연구자들은...
[학술논문] 국악인 정남희의 월북과 판소리사적 의미
...창극 공연 활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해방공간에서도 민족음악 재건 활동에 열성을 보였다. 그런데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기다렸다는 듯이 북으로 넘어갔다. 해방공간에서 이미 남로당원의 적을 가지고 있었거니와 월북 이후 북한의 건국 초기에 왕성한 문화예술 사업으로 한몫을 담당하여 인민배우의 반열에 올랐다. 예술인으로서는 숙청된 이후에도 가야금 교육자로서 많은 후진을 양성해냈다. 정남희가 북한을 택한 것은 뚜렷한 이념 성향에서 기인한 것은 아닌 듯하다. 자료의 부족으로 그의 정치적 행보를 자세히 확인할 수는 없으나, 그가 북한을 선택한 것은 천대 받는 예술인의 부당한 공연 활동이 사회주의 체제가 해결해 줄 것이라는 간명한 이유에서였을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정남희에 주목하면서 강조하고 싶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