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출생 청소년의 효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부모-자녀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xploratory basic data for the values of filial piety from young people born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etho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260 North Korean young people refugees and 260 South Korean young people, their ages belonged to 15-24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from July to September 2014 with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
[학술논문] <최척전>을 통해 본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문학치료적 접근
...상황을 직면하고 닮음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내적 치유가 시작될 수 있다는 자기서사의 변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해서는 <최척전>에 등장하는 여러 관계를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로 나누고 부부관계에서는 ‘최척-옥영’의 관계를, 부모자녀관계에서는 ‘최척부부-몽석형제(몽석,몽선)’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의 교우관계 및 부모님과의 관계와 관련하여 상동성을 느끼고 죄송한 마음이 소설을 통해 어떻게 풀어질 수 있는지를 간접체험함으로써 자기서사의 개선 가능성이 있으리라고 진단해보았다. 사회 부적응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이방인 서사’의 관점에...
[학위논문]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을 위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
아동의 심리적 적응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기술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부모-자녀관계와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유형이 아동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Rayfield Eyeberg, 1999 송영혜 외, 2001). 이에 따라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으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기술 훈련과 어머니에게 자녀 양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아동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5회기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기술훈련과 5회기의 부모교육을 통하여 북한이탈가정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위논문]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성장 연구
...잘못된 지도로 오히려 부적응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질적 연구에서는 앞선 양 적 연구에서 검증된 외상 후 성장의 유형별 특징과 성장의 결정요인을 설명·확증할 수 있었다.
여섯째, 성장의 결정요인 중‘부모애착’과 ‘외상사건 개방경험’의 경우 양적·질적 연구 간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양적 연구결과, 두 변인은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질적 연구결과, 부모-자녀 관계가 긍정적이고, 외상사건에 대한 노출 및 개방성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후속연구를 통한 명확한 관계 규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처럼 북한이탈 청소년 집단 안에서도 다양한 특성과 차이를...
[학술논문] 북한이탈부모가 인식하는 자녀양육 어려움과 양육지원 요구
... 지원서비스 중 북한이탈부모의 자녀를 위한 학습지원 요구에 대한 인식은 자녀의 연령, 자녀동거여부, 자녀 출생국, 배우자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교육서비스 인식은 자녀 동거여부에 따라, 자녀심리상담 서비스는 연령에 따라 배우자와 자녀와의 관계증진교육은 배우자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북한이탈부모가 자녀와의 이산경험, 자녀 적응 및 문제행동, 부부관계, 돌봄 부재 등 다양한 영역에서 겪을 수 있는 자녀양육의 실질적, 정서적 어려움과 관련된 양육지원서비스 요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