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적응과정 분석: CQR과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부부관계 적응과 남한사회 적응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합의적 질적 연구(CQR)로 개념을 도출하였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은 부부 또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이루고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심층면접과 자료수집과정에서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규정을 준수하였다. 연구결과로, 81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영역, 18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안정을 목적한 탈북과 결혼 – 적응 위한 고군분투 및 가족 인식변화 – 이산가족 인식 –...
[학술논문] <최척전>을 통해 본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문학치료적 접근
...‘고독의 서사’로 정의한 뒤, 이를 북한이탈청소년의 내면적 심리 갈등과 관련한 자기서사와 연결하여 자신의 상황을 직면하고 닮음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내적 치유가 시작될 수 있다는 자기서사의 변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해서는 <최척전>에 등장하는 여러 관계를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로 나누고 부부관계에서는 ‘최척-옥영’의 관계를, 부모자녀관계에서는 ‘최척부부-몽석형제(몽석,몽선)’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청소년의 교우관계 및 부모님과의 관계와 관련하여 상동성을 느끼고 죄송한 마음이 소설을 통해 어떻게 풀어질 수 있는지를 간접체험함으로써 자기서사의...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변수인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인천에 거주하는 기혼 북한이탈주민 295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주요 변수들 간의 다각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종속변수인 남한사회 적응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그 관계에 있어 자활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남한사회 적응 사이에 또 다른 심리적 변수인 우울 역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그들의 자활효능감에 영향을...
[학위논문]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수면 아래의 장소’로 다시 나뉘어 해석되었다.
사회구조적 풍경과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수면 위의 장소는 <두물머리에서 우리는 같음>과 <두물머리에서 우리는 다름>으로 의미가 나뉘었다. ‘우리는 같음’의 의미는 남북한이 한민족이며 남북한 사람들의 부부관계는 동문화 부부관계라는 사회적 담론을 채택하면서 부부들이 문화적 차이를 없애고 감추는 경험으로 해석되었다. ‘우리는 다름’의 의미는 남북한은 분단으로 인해 다르다는 담론을 채택하면서 실제 생활에서의 문화적 차이점을 인정하며 서로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안을 찾는 경험으로 해석되었다.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 정착사례와 시사점 연구
...유형별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셋째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같음이 아니라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가정 측면에서의 시사점은 첫째 지역적응센터에서 생활의 전반적인 이해 및 체험식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부모와 자녀 간의 마찰은 폭력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가정해체 다시 재결합에 따라 문제점이 다수 식별되고 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 출신 부부관계나 남남북녀 즉 잠시 만나서 즐기는 것이 아니라 미래 인생의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전문 유관기관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주거 측면에서의 시사점은 첫째 직장에 취업할 때까지 임시 주거할 수 있는 공간 확보로 직장에 취업을 하면 최종 주거주택 배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을 고심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둘째 주거주택 배정 시 북한이탈주민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