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정치보위국(政治保衛局)의 형성과정
North Korea in the early formation of the country's Political-security bureau, political security emphasis on the need for information was made by the agency. Police organizations are derived from the initial political organization and the nature of each country in the period of internal change in North Korea, but recognizing that the ‘enemy’ may have potential or internal ‘reactionaries’
[학술논문] 북한 해양경비부대의 창설과정 연구 : 해군의 기원과 초기 간부를 중심으로
...수상보안간부학교를 창설하였다. 해양경비부대는 중앙행정기관이 관할했다. 그러나 해양경비부대의 지휘체계는 소련군·행정기관·사법기관 사이에 상호 충돌하였다. 소련군사령부와 북조선검찰소는 수상보안대대의 업무에 직접 개입했다. 수상보안대대는 이같은 개입을 불법행위로 판단하였고, 개입 사실을 내무국에 보고하였다. 내무국은 소련군사령부의 개입 사실을 직접 조사했으며, 소련군사령부가 반출한 물품을 회수하였다. 또한 내무국은 수상보안대대에 검찰소의 지시를 받지 말라고 지시하였다. 이후 해양경비부대에 대한 지휘권은 내무국이 장악하였다. 북한의 해양경비부대는 남한의 조선해안경비대와 비슷한 시기에 창설되었으나, 부대규모는 해안경비대가 압도적으로 컸다. 조선해안경비대가 급속히 확장한 것은 미군정이 적극적으로 지원했기...
[학술논문] 국가건설기 북조선인민위원회 내무국의 조직과 정치세력 구성
북조선인민위원회 내무국은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보안국에 비해 정치적 저항, 정치사상, 사회안전, 주민생활, 경비임무에 관한 업무가 대폭 확대되었다. 내무국은 미군정 경무부에 비해 범죄수사와 정보사찰, 국내․국경경비, 주민통제와 주민생활, 사회안전 등의 업무를 특화해서 국내외의 위협과 혼란으로부터 국가건설활동과 정권기관을 보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그리고 내무국은 치안권과 함께 일부 사법권․군권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북한의 사회 영역에 압도적인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또한 내무국은 보안국이 담당했던 군대창설과 ‘보위’ 임무가 대대부로 이관된 이후에 치안유지, 국내․국경경비, 사회관리에 관한 임무를 전담하게 됨으로써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더 깊숙이 관여하게 되었다. 북한의 정치세력은 지방인민위원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