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사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목적: 본 연구는 북한 사회에 확대되고 있는 사교육의 현황 및 영향요인을 통해 북한 사교육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 고, 대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북한 사교육의 확산정도, 형태, 비용, 동기 등 실태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과, 사교육 경험이 인적 및 가정환경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교차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북한에서 사교육을 경험한 대상자는 전체의 39%에 이르는데, 비록 제한적이지만 북한에서 사교육이 상당수준 확산되어 있음을 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가정의 정치⋅경제적 지위,
[학술논문]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통일대비 미술교육 방안 연구
...교육정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발행되어 있는 미술교과서와 남한에 존재하는 최신 북한 교과서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 제도 및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 선정은 357개의 학교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3종의 교과서와 북한의 2013년 개정 초급중학교 교과서로 선정하였다. 셋째, 북한의 교육환경과 미술교육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하여 2명의 탈북청소년과 이들을 가르치는 3명의 북한교육관련 전문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넷째, 인터뷰에 대한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이론적 고찰에 더하여 남북한 통일시 통합 미술 교육과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의 교육과 미술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오랜 시간 분단으로 인한 이질감을...
[학위논문] 탈북대학생 학업성취 영향요인 탐색
탈북대학생들의 남북한에서의 학업 경험에 대한 연구는 이들의 남한 대학 학업 적응 지원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동시에 북한 교육환경을 이해하고 향후 남북 교육 통합 시 남북 학생들의 교육 격차와 혼란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국내 입국 북한이탈주민 중 대학 지원 대상 혹은 대학 진학을 고려할 수 있는 2030세대의 비율이 전체 북한이탈주민의 57%(통일부, 2023)에 이른다. 이들은 한국 사회에서 보다 나은 삶의 기회를 얻고 신분 상승을 하기 위해 학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대학 진입장벽으로 인해 대학 진학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남북한 교육·문화·언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