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25전쟁 시 개성철도경찰대의 개성역 전투연구
...있다. 또한 개성역 전투의 경과시간인 약 1시간 이상의 시간은 아군에게 확보된 시간이었다. 따라서 대원들은 북한군의 남침속도를 지연시키는 성과로 국군 제12연대의 병력이 임진강으로 집결하는데 기여한 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개성역을 침공한 북한군 제6보병사단은 북한 정규군의 주력으로서 팔로군 출신의 최정예 부대이었다. 그러나 막강한 병력과 화력에도, 비정규군인 개성철도경찰대의 불과 50명의 대원에 대하여, 기갑부대의 지원과 고전(苦戰) 끝에, 개성역을 점령하게 되었다는 점은 대원들의 강한 정신력과 전투력을 입증한 것이다. 이처럼 개성역은 38경계선 최북단에 위치하여, 개전 당일 가장 먼저 북한군의 공격을 받았으며, 개성역 전투는 전면전이라는 인식을 하기도 전에, 벌어진 국립경찰 최초의 전투이었고, 개성이...
[학술논문] 북한군 제2보병사단의 6·25전쟁 초기 작전
북한군 제2보병사단은 6·25전쟁시 북한군의 주요 공격부대였다. 전쟁 개시 전에 함흥에서 출발하여 화천에 전개했다. 인원은 충원되었지만;장비와 물자는 부족했다. 1950년 6월 25일 춘천-가평 축선을 담당하여 공격하였고;서울을 포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하지만 춘천전투에서 실패하면서 임무는 변경되었다. 북한군 제2보병사단은 가평을 거쳐 팔당에서 한강을 도하했다. 보병부대와 포병;연료 등은 제때에 도하하였지만;도하장비의 부족으로 일부 장비는 도하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강도하를 마친 제2보병사단은 국군과 교전하며 남쪽으로 진격했다. 7월에는 광주;용인을 거쳐 안성과 이천으로 이동했다. 이어서 진천과 청주를 점령했다. 이후 보은을 거쳐 황간을 점령하고;김천에 도착했다. 1950년 8월 김천에서는 제2보병사단은...
[학술논문] 6·25전쟁 낙동강 방어 시 킨 특수임무부대(Task Force Kean)의 역습 작전에 관한 고찰
...킨 특수임무부대(Task Force Kean)의 역습 작전을 분석한다. 킨 특수임무부대의 작전은 6·25전쟁 초기 계속된 지연 작전에서 최초의 사단급 역습 작전이라는 큰 의의가 있다. 하지만 약 7,500명의 북한군을 상대로 한 역습 작전에서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작전의 경과에 대해서 간략히 다루고 있으며, 작전의 결과로 얻은 일부의 성과에만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킨 특수임무부대 작전의 교훈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작전수행과정을 중심으로 계획수립, 작전준비, 그리고 작전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모습들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6·25전쟁 당시 미 제25보병사단의 정기 작전 보고서와 전투 일지, 그리고 지휘보고서를 중점적으로 활용한다. 킨 특수임무부대는 강력한...
[학술논문] 북한의 6·25전쟁 계획과 대전지구 전투에 관한 재평가
...대전지구 전투는 6·25전쟁 기간 최초로 한반도에 투입된 미 제24사단이 북한군 2개 보병사단과 1개 기갑사단에 의해 일방적으로 패배한 전투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미군의 일방적인 패배로 알려진 이 전투를 동년 7월 5일 벌어진 죽미령 전투를 시작으로 보름 동안에 걸쳐 북한군의 기동을 지연시킨 지연전의 관점에서 재평가하였다. 북한의 남침계획은 총 4단계에 걸쳐서 계획되었다. 이때, 2, 3단계 계획은 7월 3일 한강방어선 돌파 후 대전∼선산 선까지 14일 동안 약 180km를 종심기동 하도록 계획되었다. 그러나 대전이 점령당하는 7월 20일 저녁까지 17일 동안 열세한 전력으로 북한군 최정예 2개 보병사단과 1개 기갑사단의 기동을 지연시켰다. 그 결과 제25사단, 제1기병사단의 후속증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