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북한문학 창작방법론의 역사적 기원 고찰 - 『문화전선』 제1~5집에 나타난 ‘고상한’의 수용과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본고는 초기 북한문학 창작방법론의 역사적 기원에 대한 규명을 위해 북조선문학예술총연맹의 기관지 『문화전선』 제1~5집을 통해 ‘고상한 사실주의’의 수식어인 ‘고상한’의 활용형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시기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이 ‘고상한 사실주의’를 하나의 확정된 담론으로 규정하면서 미시적인 고찰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1946~47년의 양상을 『응향』 사건이나 ‘건국사상총동원운동’, 김일성의 1947년 신년사 등을 중심으로 북한문학의 도식화를 설명해왔다. 하지만 북한문학의 출발선상에서 제출된 기관지 『문화전선』의 번역문들을 중심으로 고찰해본 결과 1946년 이전에도 이미 북한 사회에서는 ‘고상한...
[학술논문]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과 주체문예의 문화정치
...북한 주체문학의 만들어진 전통인 ‘항일혁명문학(예술)’의 역사적출현 배경과 문학사적 위상을 재조명하였다. 1950~60년대 문예지를 분석하여 항일혁명문학(예술) 담론의 기원을 미시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나아가 그 역사적 전통을 근거로 이후북한 문학예술 장에 펼쳐진 주체문예론의 문화정치적 자장을 고찰하였다. 북한 문예지의빨치산 문학 자료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니 처음에는 1930년대 항일 유격대의 전투 중 예술선동이 구전된 민중가요, 정치연설, 촌극으로 기억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그러다가 1959 년을 기점으로 ‘혁명적 가요, 혁명적 정론, 혁명적 연극’으로 호명되면서 북한 문학예술의기원이자 적통으로 차츰 격상되었다. 이 과정에서 하방 위기에 놓인 문인, 예술가들은 ‘현지파견...
[학술논문] 해방 감각과 기억의 발화 양상 - 해방1주년기념시집 『거류』를 중심으로
...때였다. 이 사이에서 시집이 기억하는 해방은 역사적 기억의 현장성을 선명히 보여주며 격정적 감정을 호출하였다. 해방 이후는 해방 전과의 명암대비로 나타난다. 해방의 주역으로 소련과 김일성이 각각 빛의 상징투쟁을 벌이긴 하나, 해방 후를 지배하는 태양의 알레고리는 새 역사와 김일성을 중첩하는 경우가 많아 북한 문학의 수사적 전통의 기원이 이미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거류』는 흥분된 어조로 해방의 감격을 재현하는 동시에 민주개혁 이후의 성과는 평양중심이라는 공간적 전회로 표출되었다. 서울/남쪽과 평양/북쪽의 대비, 민중/인민의 대비는 해방 후 새로운 문화와 국가 건설의 주도적 공간과 주체를 명징하게 보여준다. 해방, 김일성, 항일투쟁, 건국의 핵심어들은 해방의 기원을 밝히려는 시도가 정치적 상상력과 문학의...
[학술논문] 북조선예술총련맹(北朝鮮藝術總聯盟)의 탄생과 그 이면
... 있어서 민주주의적, 형식에 있어서 민족적’ 문화론, 즉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조선화’론이다. 안막의 기본노선 또는 독자노선은 바로 김일성의 주체문예이론의 징후 또는 기원이다. 이 ‘민족’ 담론은 마오주의의 조선화 또는 마르크스주의의 민족화, 더 나아가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파국으로 나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