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대학생의 남북 교육경험 탐색: 북한 내 교육 경험이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탐색하고, 북한에서의 경제적 배경과 교육 경험이 한국 대학에서의 학업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에서 공교육과 사교육을 경험한 탈북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에서 가정의 경제적 지위가 높은 참여자들은 공교육의 공백이 없고, 사교육 경험까지 더해져 북한에서의 교육 자본이 풍부했으며, 이러한 교육자본은 한국 대학 학업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수학, 과학 등의 북한 사교육 경험은 기초학력으로 작용하여 한국대학에서의 학업 적응에 도움이 되었지만, 영어와 글쓰기 등의 영역에서는 추가적인 지원이 요구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인 맞춤형 교육지원 체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사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목적: 본 연구는 북한 사회에 확대되고 있는 사교육의 현황 및 영향요인을 통해 북한 사교육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 고, 대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북한 사교육의 확산정도, 형태, 비용, 동기 등 실태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과, 사교육 경험이 인적 및 가정환경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교차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북한에서 사교육을 경험한 대상자는 전체의 39%에 이르는데, 비록 제한적이지만 북한에서 사교육이 상당수준 확산되어 있음을 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가정의 정치⋅경제적 지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