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대일인식의 특징과 함의 :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에 대한 북한의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이 글은 일본의 독도영유권주장에 대한 북한의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북한의 대일인식의 특징과 정치적 함의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북한에게 있어 일본은 끊임없이 재침을 시도하는 군국주의 침탈세력이며 이를 입증하는 것 가운데 하나가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으로 보고 있다. 북한의 일본 독도영유권 주장에 대한 대응방식에는 북한이 본래 지니고 있던 대일인식과 정책이 반영되어 있다. 북한은 일본을 미국과 더불어 주적의 대상으로서 투쟁을 강조하는 것에서부터 협상의 대상으로 관계개선을 시도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사안에 따라 대내통합과 체제유지를 위해 관계해왔다. 북한의 일본 영유권 주장에 대한 대응도 이 같은 북한의 이해관계에 따라 대일·대미 및 대남관계 등과 관련 속에 이뤄지고 있으며 이들 관계에 따라 대응의...
[학술논문] 1959년 이승만의 대일인식과 정책: 제4차 한일회담과 재일교포 북송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는 제4차 한일회담에서 북송문제라는 북한 변수가 등장하면서 이승만의 대일인식이 어떠한 방향으로 한일회담 정책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본연구를 통하여 제4차 한일회담 시기 이승만의 대일인식과 이에 따른 한국의 한일회담정책을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제4차 한일회담 시기의 이승만의 대일인식은 과거 일제 식민지 시기의 대일인식과는 구별된다. 제4차 한일회담의 가장 큰걸림돌은 재일교포 북송문제였다. 남북통일을 추구하였던 이승만에게 이 북송문제는일본이 남한 이외에 북한도 인정한다는 의미로 다가왔다. 둘째, 제4차 한일회담 시기의 이승만의 대일인식은 그의 반공사상과 함께 당시 회담 정책에 반영되었다. 즉, 오로지 과거 식민지 시기의 이승만의 대일인식으로 인하여 제4차 한일회담의 진행이...
[학술논문] 안보위협과 대일인식: 한일관계 개선·한미일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여론 분석(2018~2021)
...또한, 북한 핵・ 미사일 능력이 고도화되고 대화를 통한 비핵화 노력이 좌절되는 일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안보환경에 반응하여 북한을 군사적 위협으로 인식하는 국민일수록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찬성하고, 중국과 북한을 위협으로 느끼는 국민일수록 ‘한미일 삼각군사안보협력 강화’에 찬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안보위협의 영향은 일본에 대해 호감도가 낮은 국민일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북・대중 위협인식은 ‘한반도 유사시 미국 지원을 위한 자위대의 한국 방위’에 대한 찬성 확률 증가에는 영향이없어, 자위대의 한국 방위는 한국민이 수용 가능한 한미일 안보협력 수준을 넘어서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민의 대일인식에는 반일정서와...
[학술논문] 안보위협과 대일인식: 한일관계 개선·한미일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여론 분석(2018~2021)
... 유사시 미국 지원을 위한 자위대의 한국 방위’에 대한 찬성 확률 증가에는 영향이 없어, 자위대의 한국 방위는 한국민이 수용 가능한 한미일 안보협력 수준을 넘어서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민의 대일인식에는 반일정서와 일본에 대한 전략적 사고가 공존하고 있으며, 이는 대중이 국제정세를 인식하고 전략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ccording to a public opinion poll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1, 68% of South Koreans support improving the strained relations with Japan resulting from historical...
[학술논문] 黃鋼의 북한 소재 작품집 『리신자꾸우냥』 연구
... 유사시 미국 지원을 위한 자위대의 한국 방위’에 대한 찬성 확률 증가에는 영향이 없어; 자위대의 한국 방위는 한국민이 수용 가능한 한미일 안보협력 수준을 넘어서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민의 대일인식에는 반일정서와 일본에 대한 전략적 사고가 공존하고 있으며; 이는 대중이 국제정세를 인식하고 전략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ccording to a public opinion poll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1; 68% of South Koreans support improving the strained relations with Japan resulting from historical dispute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