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한문교육과 그 추이
일제 식민시기를 거쳐 해방과 그 이후의 북한 어문정책은 기본적으로 ‘언어=민족’이라는 언어내셔널리즘을 배후에 둔 한글전용(국문전용)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한글(국문) 전용의 길에 방해가 되는 표기와 그 사용을 적극 배제하였다. 현재까지 북한의 어문정책은 언어내셔널리즘의 완결체를 보여준다. 국가가 법제로 한글 전용의 완성을 강제하는 것은 근대 국민국가 성립시기에나 있을 법한 발상이다. 이는 어문생활의 사회적 요구와 현재의 어문 환경을 외면한 국수적 언어내셔널리즘의 연장선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북한의 어문정책은 현실의 어문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언어내셔널리즘의 과잉 표출에 지나지 않는다. 최근 북한의 한문교육은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축소되어 고급중학교 3학년에서만 배운다. 이는 이전의 양상과...
[학술논문] 사전 편찬을 통해 본 李克魯의 독립운동사적 위상과 냉전적 해석 굴레의 탈피
...하였는데, 월북의 목적은 金枓奉의 제안에 따라 북쪽의 조선말 사전을 편찬하여 남북의 분단으로 야기될 언어의 분단을 막고자 한 것이었다. 월북 후 이극로는 조선어문연구회의 위원장이 되어 ①조선어 문법의 편수 간행, ②조선어 사전의 편찬 간행, ③조선 어문 연구 잡지의 간행, ④조선 어문 연구 논문집의 간행, ⑤조선 어문에 대한 특별 강연회의 개최 등의 북한의 어문 정책을 주도하였다. 이런 그의 행적을 보면 그가 월북을 하였다는 이유로 남북의 언어 통일을 위하여 사전 편찬과 문법 연구에 집중한 업적이 평가 절하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이보다는 민족의 통일과 언어의 분단을 막기 위해 어려운 결심을 한 그 정신과 용기를 높이 살 필요가 있으며, 그의 행적은 그가 1920년대에부터 보여 온 행적과의 관련성 속에서 고찰하여...
[학술논문]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 통일 방안
...이렇듯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여러 표기법이 혼용되었지만 분단 이전까지는 주로 머큔-라이샤워 표기법(1939)이 통용되었다. 분단 이후 남북의 어문 정책의 변화에 따라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던 중 ISO의 요청에 따라 1985년부터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이 시도되기도 하였다. 이 시도는 합의안(1992)을 거쳐 ISO TR 11941(1996)안을 도출하였으나 결국 결실을 맺지 못하고 사장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여러 번의 변화와 부침이 있었던 남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통일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남한과 북한의 로마자 표기법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남한의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한글을 로오마자로 적는법’(1948), ‘한글의...
[학술논문] 남북한 어문 정책의 동질성 회복 방안에 대한 연구
이 논문에서는 남북한이 일체관이라는 공통 언어관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어문 규정 차원에서 남북한 어문 정책의 동질성 회복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남한의 어문 규정은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학회 차원에서 1946년, 1980년 안이 실행되다가 ‘한글 맞춤법’(1988)이 국가 차원에서 실행하게 되었다. 북한도 1933년 통일안에 기초한 1946년 안을 사용하였다가, 이후 독자적으로 1948년, 1954년, 1966년, 1987년, 2010년에 어문 규정을 수정하여 실행해 왔다. 결국 남북한 어문 정책의 동질성은 1933년 맞춤법 정신을 회복하면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남북한은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