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지형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 요인들은 상호 관련 속에서 영향을 주면서 종교지형을 변화시킨다. 먼저 종교내적 변화요인은 북한체제에 대한 종교적 시선이다. 종교마다 종교의 형성 배경이 다르고, 그 종교의 경전이 달라 체제와 시대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다. 북한 안에서 체제 변화가 일어났을 때 기존에 있던 종교들은 체제에 대한 그들의 입장을 표명하고 체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대안을 제시해야만 했다. 이때 각 종교가 보내는 북한체제에 대한 입장은 그 종교의 지형 변화에 바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또한 북한체제 내에서 생존하여 주체사상 이후 출현한 체재 내 종교도 시대적 변화에 대한 해석을 통해 대응하는 과정 속에서 미세하지만 종교지형의 확장이나 축소가 일어났다.
두 번째 요인으로는 각 종교의 전교(傳敎)활동이...
[학술논문] 「로동청년」으로 본 북한의 종교변화와 청년세대의 동향
북한의 종교변화에 관해 상당수의 연구논문과 단행본이 북한 외부에서 출간되었다. 본 논문은 북한 외부에서 출간된 북한의 종교변화와 흐름을 배경으로 하되, 북한 내부에서 청년들에게 제공되는 출판물의 종교 관련 기사의 성격을 분석한다. 북한청년을 대상으로 매일 45만 부가출간되는 3대 중앙지 「로동청년」의 종교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지면 수와 분량에 있어 보도가 집중된 세 축을 발견하였다. 첫째, 북과 해외동포 기독자간의 대화와 관련된 기사, 둘째, 세계교회협의회의 주도로 개최된 남북기독교인의 만남과 관련된 기사, 셋째,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을 전후로 북한을 방문한 기독교인사들과 관련된 기사이다. 수 년간 게재된 이들 기사들의 공통점은 평화통일과 민족 대단결이라는 거시적인 민족과제에 집중하고 주체사상과 기독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