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해외동포정책 전담기구 분석: 조선해외동포원호위원회와 해외동포사업국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북한의 해외동포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추진 체계를 정리하고 해외동포정책 전담기구인 조선해외동포원호위원회(해동위)와 해외동포사업국을 중심으로 해외동포정책의 담당기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연구에서는 해외동포 관련한 정책을 담당하는 부서를 통일전선부 산하에 있는 외곽단체인 해동위와 내각산하의 해외동포사업국 단체로 밝히고는 있지만 이 기관들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없다. 그 이유는 북한은 당, 국가기관 등 모든 기관에서 엄격한 비밀주의를 표방하고 자료를 가능한 한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해외동포정책을 관여하는 기관에 관한 자료를 획득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 공개한 공식 출판 자료 및 국내의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여 부분적으로나마 해외동포정책 전담기구와 추진체계에...
[학위논문] 북한의 해외동포 정책 연구 : 제도로서의 시민권을 중심으로
.
[학술논문] 북한의 해외동포정책 변화 과정
이 글은 북한의 해외동포정책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국적법과 헌법의 제도적인 측면을 살펴보고, 이 정책의 변화 내용을 탐구한다. 해외동포정책의 제도 이행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재일조선인에대한 법적 지위에서 출발한 노동당의 해외동포정책은 1960년부터 1970 년대에 재일동포를 중심에 두었다. 1963년 국적법을 제정해 재일조선인에 대한 공민권을 주장하였고, 1972년 사회주의헌법에서 국적의 근거조항을 삽입하였다. 1980년을 전후해 북미주로 정책을 확대하면서 이산가족들의 ‘조국 방문’으로 교류를 전면 활성화했다. 1990년대 동유럽 국가사회주의 체제의 이행은 북한이 헌법을 개정하면서 해외공민에 대한 법적보호 조치를 강화하도록 했다. 2022년 최고인민회의는 더욱 보편화된제도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