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벤처창업 성향이 남한사회 적응성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북한이탈주민은 1990년대 중반이후 북한경제가 붕괴되자 북한을 이탈하여 중국 등 제3국을 거쳐 한국에 입국하였다. 3개월의 정착교육을 이수하고 거주하는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의사소통 곤란, 가치관과 정체성의 혼란 및 문화의 차이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벤처창업 성향에 따른 사회적응성 및 가족건강성 회복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북한이탈주민의 벤처창업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중 부부중심, 한 부모 및 1인 가족 45명을 대상으로 1:1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성공적인 남한 정착을 위한 4가지 정책적 대안을 도출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요인
This study examined positive and negative marital factors on social adaptation to South Korea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terms of previous studies, family variabl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daptation to new society among refugees. We analyzed three major marital factors of marriage background, dyadic adjustment, and marital violence. Marital factors consisted of place of birth, place of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적응과정 분석: CQR과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부부관계 적응과 남한사회 적응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북한이탈주민 부부의 적응 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질적 연구 방법 중 합의적 질적 연구(CQR)로 개념을 도출하였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통해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은 부부 또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이루고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심층면접과 자료수집과정에서는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규정을 준수하였다. 연구결과로, 81개의 개념과, 43개의 하위영역, 18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안정을 목적한 탈북과 결혼 – 적응 위한 고군분투 및 가족 인식변화 – 이산가족 인식 –...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사회적응의 관계에서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목적은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작용하는 심리적 변수인 자활효능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주제를 탐구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그리고 인천에 거주하는 기혼 북한이탈주민 295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주요 변수들 간의 다각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종속변수인 남한사회 적응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그 관계에 있어 자활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와 남한사회 적응 사이에 또 다른 심리적 변수인 우울 역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부부관계가 그들의 자활효능감에...
[학술논문] 북한 가족의 특징과 변화의 불균등성: ‘고난의 행군기’ 이후를 중심으로
...중반이후 심각한 경제난에서 비롯된 북한의 사회변동은 주민들의 가치체계는 물론 가족생활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북한이탈주민의 심층면접을 통해 북한가족의 특징과 변화는 물론, 그러한 변화를 구조화하는 조건으로서 북한의 시장화와 가부장적 사회주의를 살펴보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장마당에서 시작된 시장화의 영향으로 북한은 다양한 사회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가족 또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고난의 행군기 이후 생계를 위한 이동의 빈도와 범주가 확대되고 여성의 부양부담이 증가하면서 부부의 역할 및 지위가 변화하는가 하면, 이를 둘러싼 부부갈등과 가족해체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부양책임과 가정경제권이 여성에게 귀속되면서 아들보다는 딸을 선호하고, 부모부양의 주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