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론 연구 :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 접근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연구로써 연구자는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통찰과 방법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총 42편의 논문을 분석했다. 문헌 분석은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법제 통합, 외국 사례의 분석과 시사점 연구, 대북지원과 통합정책 평가와 방향 제시, 사회적 자본과 멘토링 연결망, 북한이탈주민의 동질성 회복 및 공생, 학교 적응과 교육, 차별과 취업 불만, 낙인, 문화 적응과 관계 형성, 소통과 심리적 통일, 포섭과 배제의 연구 문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치적 다양성, 주체사상의 극복과 새로운 시민으로서의 정체성 재구성, 북한이탈주민들의 문화자본 등에 대한...
[학위논문] 탈북 청소년 커밍아웃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 “나는 북한에서 왔습니다”
...다른 이주민보다 ‘비가시적 낙인 정체성’을 가진 탈북 청소년이 더 고민하는 문제이며; 이러한 결과는 탈북 청소년의 이주와 정착 문제에 개입할 때 다른 이주배경 청소년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탈북 청소년 정책은 통일 후 사회통합이라는 큰 틀에서 논의해야 하는 특별한 주제다. 이에 따라 탈북 청소년 정책 개발에 있어서 동화주의에 입각한 현행 정책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다문화 담론에 대해 재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천 현장에서도 탈북 청소년의 상황과 욕구; 강점에 초점을 맞춘 개입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탈북 청소년의 커밍아웃은 자아 정체성 발달과 관련한 문제이고 일정한 단계가 있으며; 탈북 청소년이 이 과정에서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학위논문] 탈북남성의 사회적응 특성과 남성성
...한계 남한 사회·직장의 구조적 문제 인식이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탈북남성들의 남자다움이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실천이론으로 정립해 향후 사회통합 논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탈북남성의 사회적응에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정서적 적응과 관련된 논의를 촉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이 앞으로 탈북남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뿐만 아니라 탈북남성들의 안정적인 남한사회 정착을 위한 실천적 문제를 고려하는 후속 연구의 진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how the masculinity of North...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의 정신건강서비스 일에 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지원체계를 지방자치단체와 민간단체의 역할을 지원하는 정책으로의 개선이며, 구 중심에 하나센터가 존재하는 것이다. 다섯째, 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장기적 로드맵이 구성되어야 한다.북한이탈주민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장기적인 구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비스 체계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주도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위험 및 보호요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에 맞는 위기의 정의와 위기대상자 선정 및 발굴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인식 및 대처에 대한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한국 정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기상황과 이러한 위기상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