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대한반도정책의 딜레마: 전환과 지속의 갈림길에서
본 논문은 중국의 자국에 대한 정체성 인식 변화와 이로 인해 그 의미가 더 중요해진 동아시아 지역에서 중미 간 전략적 경쟁이라는 구조적 요인을 통해 중국의 한반도정책의 딜레마를 분석한다. 중국은 시진핑 등장 이후 (부상하고 있는) 강대국 정책성을 분명히 하고 대외정책 방향을 조정해왔다. 이로 인해 대북정책과 한반도 통일문제에 대한 인식에서도 중미 간 전략적 경쟁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되었다. 그 결과 중국정부는 한편으로는 핵과 미사일 발사로 이 지역의 평화를 해치는 북한에 대해 심각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대북 강경책을 취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지역 불안을 야기하는 북한의 존속보다 남한 주도의 통일이 중국의 전략적 이해에 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일련의 인식 전환의
[학술논문] 중국 외교담론의 한국적 재구성: ‘중국의 북한포기론’과 ‘북한붕괴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 비정부행위자의 대북 담론 구성과 한국적 재구성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2013년에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 내에서 제기된 ‘중국의 북한포기론’과 1990년대 중반부터 나타난 한국에서 제기된 ‘북한붕괴론’의 비교를 통해 국가의 정치, 외교적 맥락에 따른 두 담론의 구성 및 재구성 과정과 유사성 및 차별성을 밝히고자 한다. 두 개 담론의 비교를 통해 중국의 북한포기론에 담겨 있는 다변화된 중국의 대북 정체성과 중국의 국가이익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중국의 북한포기론이 내/외부의 행위자들에 의해 최초로 구성되고, 한국의 주요 미디어와 영향력 있는 학자들을 포함한 외부행위자와 내부행위자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중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