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러 "北원산은 환상적 여행지"…외무장관 방문뒤 '띄우기'
러시아가 최근 개장한 북한의 원산갈마 해안관광지구를 "환상적 여행지"라며 띄우기에 나섰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16일(현지시간) 스푸트니크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원산갈마의 리조트에 대해 "환상적인 휴양지"라며 "1개의 호텔과 그 주변에 관광 인프라가 조성된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정말 호텔들로 이뤄진 도시"라고 설명했다.
[뉴스] 북한, 남포시 와우도유원지 관광 인프라 새단장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북한이 평안남도 남포시 와우도유원지의 관광 인프라를 새로 단장했다고 16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가 보도했다.
매체는 "남포시에 위치한 와우도유원지가 인민의 문화정서 생활 기지답게 더욱 훌륭히 개건되였다"고 소개했다.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관광산업 평가 및 전망
...명시된 곳이 6곳이다. 현재 북한의 관광산업개방유형은 ‘적극적 부분개방’모델로서, 이행기 모델에 진입하지 않고 비켜 가 있는 상태이다. 첫째, 경제특구가 확대되고 있다. 둘째, 최고지도자가 의지를 가지고 관광개방·개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셋째, 지리적 개방, 제도적 개혁, 인프라 확충에 있어 전보다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2014년에 북한이 관광을 통해 벌어들인 외화수입은 최소 3,069~4,362만 달러로 개성공단 수입의 약 40%, 금강산·개성관광 수입의 1.5~2배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관광개발 측면에서 중국 및 서구권의 외자유치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지만 최근 러시아와의 협력 강화로 관광인프라 개발이 예상된다. 2012년부터...
[학술논문] 중국의 일대일로와 동북아 경제협력의 확장성 연구-남⋅북⋅중 접경지 물류⋅관광 협력 중심으로-
...보유하고 있어서 철도, 도로, 공항 등 대규모 SOC투자와 도시건설, 관광-물류 분야의 다국적 초국경 협력을 통해 새로운 동북아의 성장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아주 높은 곳이다. 중국의 입장에서 보면 중국은 동북지방의 안정을 도모함으로써 유라시아와해양으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고, 북한의 경우는 중국과 한국의 시장경제학습을 거쳐 시장경제로의 진입 가능성을 제공하여 체제개방 가능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한국의 경우는 북중을 거쳐 유라시아 북방경제권으로 진출할 수 있는 양호한 조건을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남북중 3국간의 물류-관광협력을 대단히 중요한 의미와 실천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문제는 북한 김정은 정권이 한중을 신뢰하고 북한이 스스로 협력을 견인할 수 있는 한중간의 전략적 공조가 요구된다.
[학위논문] 제한적 목적지 이미지의 다차원적 접근 모델 : 북한관광 빅데이터 사례를 중심으로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북한에 대한 관광이미지의 인지·정서 차원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이미지는 자연자원, 역사문화자원, 도시자원, 관광자원, 관광인프라, 관광프로그램, 경제성, 접근성, 안정성, 가치성으로 총 10개의 구성차원으로 분류하여 세부 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정서적 이미지는 제한적 목적지 관광이미지 가치평가 차원, 제한적 목적지 관광이미지 잠재력 차원, 제한적 목적지 관광이미지 활동성 차원 등 총 3개의 구성차원으로 분류하여 차원별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정서적 이미지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의미분별척도를 적용한 대칭적 의미의 형용사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제한적 목적지로서 북한의 관광이미지 감성구조 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학술논문] 중국인의 평양관광 만족도 연구: 씨트립 사이트상의 평가를 중심으로
...만족도 평가에서 제일 높은 점수를 받은 관광자원은 대동문, 평양친선관(식당), 옥류관 등의 순서였으나 통계적으로 충분한 데이터가축적돼 있는 관광자원을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다시 산정해 본다면 옥류관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시계열 분석을 통해 평양관광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중국관광객의 평양관광만족도는 2010년대에 매년 유의미한 우상향 상승곡선을 그렸다. 이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관광자원의 확충이 주요 요인가운데 하나이다. 평양의 도시개발 및 정비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북한 당국의 관광에 대한 태도 변화가 그 근원일 것으로분석된다. 당국의 의지와 정책이 뒷받침하지 않고서는 전반적으로 관광인프라 개선과 관광자원이 확충될 여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의 북한 관광정책 연구
...북한의 관광정책과 관련해서 김정은 시대를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성실하게 수행하기 위해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별로 관광정책을 분석하였다. 또한;사회주의 국가 중에 관광산업을 통해서 경제발전을 이룬 쿠바・베트남・중국 등의 관광산업 정책들을 파악하였다. 사회주의 국가인 쿠바・베트남・중국의 관광정책을 통해서 북한의 관광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북한이 관광산업에 집중하는 이유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향후 북한의 관광산업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사점과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북한은 관광 인프라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둘째;북한은 적극적으로 경제특구와 관광특구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셋째;북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