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법론 연구의 성과와 과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조선어학에 대한 남북한 학계의 주요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북한 문법론의 최근 연구 동향 및 추후 북한 문법론 연구 과제에 대해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북한 학자의 북한 조선어학 연구에 대해 ‘20세기의 조선어학(김영황, 2018)’를 소개하고 논평하였다. 둘째, 남한 학계의 북한 조선어학 연구에 대해 다섯 가지 소주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 남북언어 이질화 극복, 2) 학회 및 연구소의 북한 어문학 특집호, 3) 북한 조선어학 분야의 분류, 4) 북한의 조선어교육/한국어교육 연구 및 통일 대비 국어교육, 5) 남북 화합(남북 상생)을 위한 향후 연구 주제 제안셋째, ‘실천적에서 이론적으로’...
[학술논문] 북한 조선어학에 대한 남한 학계의 연구 경향 분석
본 연구는 북한 조선어학에 대한 남한의 연구를 정리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지금까지 이루어진 남한의 연구들을 시기와 분야로 나누어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본고는 1988년 해금(解禁)과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이 북한 조선어학에 대한 남한의 연구 동력에 영향을 미쳤 다고 보고 이에 따라 3개 시기로 나누어 그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남한의 연구에서는 북한 조선어학의 의미론;문체론;언어일반;언어공학;기타 부문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점을 밝혔다. 다음으로;북한 조선어학에 대한 남한의 관점을 문법론 연구를 사례로 들어 질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남한의 연구들에서 북한이 중시하는 언어의 실제성과 민족성에 대한 참조 없이 조선어학을 이론적이지 않다고 비평해 온 사실을 확인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문법의 형용사 연구 -조선어리론문법과 조선어학전서를 중심으로-
...‘있다’는 동사, ‘없다’는 형용사로 보는 견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북한 문법의 형용사 기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형용사의 기본 특성에 대해 동사와 공유하는 ‘상태성’보다는 ‘성질성’을 중심으로 다루며, ‘서술성’에 대해서도 다른 언어와의 차이점을 제시하면서 소위 용언성 형용사의 특징을 부각시킨다. 둘째, 형용사를 하위 분류하는 것에 대한 무용성도 제기되었지만, 조선어품사론(2005) 및 현대국어문법론(2015)과 같은 최근 문법서에서는 형용사의 하위 분류가 제시된다. 셋째, 형용사의 네 가지 특성(어휘-의미론적 특성, 형태론적 특성, 문장론적...
[학술논문] 북한의 문법론 연구 동향–2005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의 4대 학술지를 중심으로
...2019년까지 북한의 4대 학술지, 『조선어문』, 『김일성종합대학 학보 어문학』, 『사회과학원 학보』, 『문화어학습』에서 문법론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여 해당 분야의 성과와 동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난 15년 동안 4대 학술지에는 매년 59편 정도의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연구 주제는 품사론이 가장 많았고(251편, 28.14%), 형태론(207편, 23.21%), 의미론 및 어용론(189편, 21.19%), 문장론(137편, 15.36%), 문체론 및 언어생활(108편, 12.11%)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문법론 연구 주제인 품사론과 형태론 연구의 비중이 높으나 의미론, 어용론 연구가 차츰 증가하고 있었다. 북한은 세계 언어학 이론의 변화를 수용하고 이를 조선어 문법론에 적용하고자 한다. 북한은 구조주의...
[학위논문] 북한의 '토' 이론 연구
본 연구는 북한 문법론의 주요 논의 대상인 ‘토’에 대해서 북한 문법학자들이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토 이론 연구의 성과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논의를 정리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은 조선어문법(1949) 이래로 지금까지 문법론 서술의 중요한 원칙은 ‘토를 문장성분과 일치시키는 것’으로 체언의 곡용(曲用)과 용언의 활용(活用)을 인정하지 않으며 남한 문법의 조사와 어미를 하나로 취급하여 ‘토’로 설정한다. 조선어문법(1949)의 관점은 이후 일관되게 유지되며 토와 관련된 학술토론회를 거치고 문화어문법을 정돈하면서 토 이론은 공고화한다. 그러나 북한 문법에서도 선어말어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