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려인 문학과 북한 문단과의 영향관계 ― 조명희를 중심으로 ―
...고려인 문학과 북한 문단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조명희 고려인 문학이 남북한에서 역사적 시대적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소련에서의 조명희 문학의 위상은 한글문학의 개척, 고려인 문단의 형성, 북한 문단에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주의 건설 하의 소련이라는 시공간에서 조명희 문학은 민족과 계급의 경계를 넘나들고 국제주의적 시각 속에서 유토피아적 공간을 희망하고 있었다. 그는 기억과 재현이라는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민족의 현실을 인식하고 탈식민의 이상적 공간을 꿈꾸었다. 조명희 문학으로부터 비롯된 북한 문학의 특질은 그의 제자인 조기천 문학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조기천 문학은 북한의 송가문학이나 항일혁명문학의 형식과 내용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조명희 문학에 나타난...
[학술논문] 1950~60년대 북한소설의 지배 담론과 텍스트 평가의 균열 양상 고찰 -전후 복구기(1953)부터 유일사상체계형성기(1967)까지를 중심으로
이 글은 1953년 휴전협정 이후 1967년 유일 사상체계 형성기까지를 대표하는 네작품을 중심으로 1950~60년대 북한소설의 지배 담론과 실제 텍스트 평가의 균열 양상을구체적이고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시기를 관통하는 문학 담론으로는 마르크스-레닌주의 미학 사상과 함께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강조된다.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도식주의 논쟁과 부르주아 사상 잔재 비판 등을 거쳐 당의 유일사상체계 형성을 강제하는 지배 담론과실제 텍스트 평가 사이의 균열 양상을 통해 문학사적 선택과 배제가 지니는 함의를 분석함으로써 북한문학의 유연성과 경직성을 검토하였다. 유항림의 「직맹반장」은 예술적 개성의 표출과 객관주의적 수법의 잔재라는 평가를 유동하다가 최종적으로 난관 극복의 긍정적 서사로 문학사에...
[학술논문] 이태준의 기행문 『위대한 새중국』에 나타난 중국인식
이 논문의 목적은 이태준이 쓴 중국기행문인 『위대한 새중국』을 주요 텍스트로, 이 기행문 배후에 작용하고 있는 정치ㆍ사회적 배경과 중국 표상 및 그 재현의 논리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태준은 문학적 생애의 전환기마다 만주, 소련, 중국 등의 문제적 공간을 여행했고, 그에 따른 충실한 기행문-『만주기행』(1938), 『소련기행』(1947), 『혁명절의 모쓰크바』(1950), 『위대한 새중국』(1952)-을 남겼다. 또한 이태준은 북한의 국가형성기 소련기행문과 중국기행문을 남긴 최초의 북한 문인이다. 이태준의 소련기행문과 중국기행문을 주요 텍스트로 한 선행연구들의 경우, 소련기행문에만 ‘지나친’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 『위대한 새중국』을 주요 텍스트로한 경우에도 당대의 정치·사회적...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알맹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에서는 종자로써의 주제 · 작가의 역할 · 시대 배경 · 공산주의 인간형 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또한 역사물에서도 현대의 조선 문화어를 쓰면서 해당 역사적 시기의 어휘와 어투를 시대적 표상에 맞게 사용할 것을 강조한다.
북한 역사소설에 형상화된 주요 역사 시기는 ‘반제 · 반봉건 민족 형성기’,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 기’, ‘해방 후 민주개혁 시기’, ‘한국 전쟁 시기’이다. 이러한 역사를 배경으로 하면서 공산주의 전형을 창조하고 갈등의 요소를 통해 작품의 주제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북한 역사소설의 실체와 변모를...
[학술논문] 1950년대 북한의 두 ‘평화의 마음’
... 결의 재현과 관련된 행위자적 측면, 즉 문예 인텔리의 조직적 변화도 다룰 것이다. 1950년대 평화 주제를 둘러싼 문학적 재현 및 문학계의 조직에대한 규명은 전후 사회주의 체제형성기 북한 사회의 다양한 대안적 논리의 역학관계를드러냄으로써 북한의 ‘평화의 마음’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남북한‘마음체계’ 통합을 필요로 할 한반도 평화의 현재적 탐색에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