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외래문화 수용 실태와 문화전략: 북한 텔레비전 방송 분석을 중심으로
...변화를통해 북한사회, 북한체제 변화의 단초에 접근하고자한다. 체제전환과 정보화로 촉발된 세계화, 그 세계문화로 보편화되고 있는 자본주의 문화로의 동화라는 강력한 원심력적 ‘위협’에 북한이 어떠한 방식으로 적응하고 있는가에 주목하면서 북한사회의 변화의 단초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북한의 외래문화 수용 실태와 문화전략을 규명하기 위해 현재진행형이며, 지속적 담론 생산의 기제인 텔레비전 방송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조선중앙TV에서 방영되고 있는 해외관련 방송이며, 분석대상 시기는 2009년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4년 동안이다. 2009년은 김정은이 후계자로 등장한 시기로, 이 연구는 김정은시대 문화정책을 조명한다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북한의 방송매체는...
[학위논문] 198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체문학 연구 : 사회주의 현실주제 소설과 국제 연대성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에서 이른바 ‘북한 바로 알기 운동’과 더불어 출판시장에서 북한문학을 소개하는 것이 유행처럼 번진 상황과 표리를 이룬다. 문제는 이때 북한문학은 반공과 검열을 우회하기 위한 자체적인 편집과 삭제로 인하여 온전하지 못한 형태로 대한민국 독자들에게 소개되었다는 사실이다. 한편으로 1986년 9월 평양에서 열린 ‘자주, 친선, 평화를 위한 투쟁에서 현대문학의 역할에 관한 국제토론회’는 테탕트 이후 새롭게 재편되고 있던 지구적 냉전 국면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문학을 중심으로 외부와 교류하고 자신들의 체제를 공고화하기 위한 문화적 전략을 어떻게 계획・실천하였는지 보여주는 사례이다. 즉 ‘통일문학’의 견지에서 대한민국의 북한문학 읽기와 더불어, 세계문학과...
[학술논문] 남북한 공동의 산림문화유산을 활용한 생태관광 협력방안 연구 - 금강산 유산기(遊山記) 활용을 중심으로 -
북한 산림복구와 생태보전은 남북평화에 기여하고 백두대간의 생태 축을 이어서 동북아의 자연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산림경영의 다각적 측면에서 남북협력과 국제협력의 글로컬문화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북한의 관광개발추세와 정책 등에 비추어 그러한 전략적 방안으로서의 남북생태관광협력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남북 공동의 산림문화유산이자 전통문화콘텐츠로서의 유산기를 활용하여 산림협력방안을 모색한 바는 아직 없다. 유산기(遊山記)는 선조들의 산행과 유람에관한 기록으로, 이와 관련된 많은 글과 그림들이 산림문화유산으로 남아있다. 시대적으로는 유산이 성행했던 17~18세기의 기록들이 가장 많이 남아 있으며, 그중에서 금강산 유람 기록이 가장 많다. 이 연구는 ‘금강산 유산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