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본 연구는 북한의 수재양성 기관인 제1중학교의 영어교과서를 코퍼스로 구축한 후, 이를 분석하여 언어적 특징을 파악한 연구이다. 그동안 북한의 일반중학교의 영어교과서의 특징들을 파악한 연구는 많았지만, 북한의 수재교육기관인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를 위하여 북한자료센터에서 입수한 제1중학교 1학년, 2학년, 4학년, 6학년 영어 교과서 구성 체계를 살펴보고, 코퍼스를 구축한 후, 워드스미스 툴스 7.0을 활용하여 제1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언어적인 특징과 고빈도 내용어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인 통계 정보를 살펴본 결과, 학년의 위계에 따라 어휘 수가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어휘다양성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한편 학년별 고빈도 내용어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학술논문] 북한의 2013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 교과서 구성 체제 비교
본 연구는 북한 2013 개정 영어교육과정에 따라 개정된 최신의 교과서 중, 북한 자료 센터에 입수된 개정 전 대응 학년 교과서가 확보된 5종을 선정하여 개정 전과 개정 후 영어 교과서의 구성 체계를 비교하였다. 일반중학교 초급중3, 고급중2, 고급중3, 제1중학교 고급중1, 고급중 3 이렇게 5종을 선정하여 개정 전 교과서와 비교한 결과, 개정 후 교과서는 첫째, 외형과 삽입 그림에서 이전과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전의 흑백의 소박한 교과서 구성을 벗어나 칼라로 인쇄되었다. 둘째, 머리말에 이전까지는 없었던 김정은에 대한 충성 맹세가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개정 전에는 읽기, 쓰기 기능에만 치중한 반면 개정 후에는 듣기, 말하기 기능을 포함한 영어의 4기능을 고루 강조하고 있다. 넷째, 개정 전 교과서는...
[학술논문] 북한 제1중학교와 남북한 일반중학교 영어교과서 어휘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과학과 기술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제1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의 어휘 구성 정보를 파악하여 북한 수재 교육에서의 영어 교육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정보센터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 제1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코퍼스를 구축하고, 워드스미스 코퍼스 분석 도구를 활용해서 코퍼스에 나타난 어휘 정보를 우리나라 중등학교, 북한 일반 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북한 제1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우리나라 영어 교과서 보다는 어휘 다양성이 작지만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 제1중학교가 북한 일반 중학교보다 약2배정도 높은 어휘 다양성을 보여 수재 교육의 차별화된 모습을 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빈도 내용어를 통한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영어...
[학술논문]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코퍼스 기반 어휘 분석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와 일반중학교 영어교과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영어교과서를 비교하여 북한의 제1중학교 영어교육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북한의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코퍼스를 구축하고 이미 만들어진 북한의 일반중학교 영어교과서 코퍼스 및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영어교과서 코퍼스와 비교한다. 북한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어휘 사용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북한 일반중,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코퍼스와 비교한다. 이를 위해서 워드스미스의 콘코드와 키워드 기능을 활용하여 3 개의 코퍼스를 비교하여 긍정 핵심어와 부정 핵심어를 조사한다. 연구의 결과로 먼저 긍정 핵심어 분석에서는 북한의 제1중학교 영어교육이 교과서 구성, 언어기능, 교육기자재와...
[학술논문] 북한 2013 교육과정 개정 전·후 영어교과서 코퍼스 기반 비교: 고급 중학교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일반중학교와 제1중학교 영어교과서의 북한 2013 교육과정 개정 전·후의 차이를 코퍼스 기반으로 비교 분석하여 북한의 영어교육의 변화된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개정 전·후의 일반중학교 고급 2, 3학년과 제1중학교의 고급 3학년 북한 영어교과서를 연구대상으로 정하여 코퍼스를 구축하고 워드스미스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학교급 모두 개정 전 보다 개정 후에 어휘 양과 내용, 표준화된 어휘다양성(STTR)이 늘어나 학습량과 부담이 더 많아졌다. 개정 전 키워드였던 이념어휘가 개정 후에 사라져 주된 주제였던 이념적 내용과 사회주의 사상을 고취시키는 교훈을 주는 고전 내용의 지문은 없어지고 개정 후에는 일상생활, 과학, 환경, 스포츠 등의 다양한 주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