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붉은 한글운동’의 기원: 소련시대 연해주 고려인 사회의 언어운동
This paper deals with the linguistic movement by the ethnic Korean residents of the Soviet Maritime Province, approaching it as a part of the Korean cultural independence movement. This movement by the Korean settlers and their descendants is understood to constitute one of the roots of the linguistic radicalism of the social DPRK's first formative years. Such possibility may be confirmed by the
[학술논문] 북한 체제 형성 초기 레닌 사상 수용의 양상: 모스크바 외국문서적출판부 한글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위한 국한문혼용체와 대중화를 위한 한글 전용의 이중적 표기체계가 통일되는데, 그 언어정책의 급격한 전환의 모델로서 외국문서적출판부 한글판은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학술논문] 식민과 냉전의 틀을 넘어서는 ‘비판적 코리아 연구’에 공명하며 : 板垣竜太(2021) 서평
... 이 ‘학문사’라는 것이 해당 학문의 지적 토대 자체를 의문시하고 성찰하여 결국에는 이 책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 즉 식민주의와 냉전적 사고에 맞서는 ‘비판적 코리아 연구’에 직결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았기 때문이다. 본고의 1장에서는 이 책의 이러한 문제의식을 소개하고 2장에서는 김수경이 주도한 초기 북한의 언어정책과 규범 문법서 편찬의 키워드라고 할 수 있는 ‘형태주의’의 문제를 해방 이전의 식민지 시기에 있었던 조선어 연구의 문맥에서 재검토했다. 3장에서는 사회주의와 구조주의라는 ‘20세기사의 2대 조류’를 중심으로 하여 이 책의 중심 주제를 일반언어학사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우선은 김수경이 복권 이후 발표한 저작을...
[학위논문] 북한의 '토' 이론 연구
...것이다.
셋째, 북한 문법은 해방 초기부터 ‘형태중시 기능문법’ 서술을 보였다. 조선어문법1(1960)은 단어의 형태와 문법범주를 하나로 합하여 형태론에서 기술함으로써 ‘형태중시 기능문법’의 서술을 보이고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의 일정한 형태가 문법적 범주를 나타낸다면 그것이 곧 문법범주가 된다고 보며 기능중심적으로 문법을 기술하고 있다. 조선어문법1(1960)의 기술 방식은 러시아 문법과 주시경을 비롯한 선학의 영향을 받았다. 조선어문법1(1960)의 기술 방식이 러시아어문법(1960)과 그 구성이 대부분 유사하다는 점, 북한 스스로 마르크스와 스탈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