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진보당 해산결정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한 연구 - 결정서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 -
...위헌정당해산심판이 다시금 청구되지 아니하는 것이겠으나, 재차 위헌정당해산심판이 문제될 경우 동 결정은 유일한 선례로서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필자는, 정당해산제도 및 이 사건 결정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참고하는 가운데, 이 사건 결정의 결정서 그 자체를 주된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에 대한 비판적인 독해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결정서를 순차적ㆍ비판적으로 독해하면서, 다수의견과 반대의견, 보충의견 각각으로부터 유의미한 쟁점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및 연구방법에 따라 이루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견과 반대의견 그리고 보충의견은 민중주권주의에 대하여 상이하게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견해에 의하더라도, 민중주권주의가 단지...
[학술논문]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학생에 비해 12.8점이 낮았다. 문항 난이도 차이를 바탕으로 국어 능력을 분석한 결과,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어려워하는 영역은 문법 인식 능력, 문학 지식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평가 문항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영역이다. 반대로 북한 이탈 학생은 기본적인 모어 능력, 사실적 독해 능력에서 일반 학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한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첫째, 남북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차이 및 문법 차이, 그리고 문학 작품을 목록화 한 교재 개발 둘째, 비판적 읽기 교육 및 민주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셋째, 한국에서의 평가가 생애 주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와 평가 문항에 대한 이해를 위한 매뉴얼 개발과...
[학술논문] 1970∼80년대 북한문학의 지배담론과 소설 텍스트의 균열 양상 연구 - 『1932년』, 『청춘송가』, 『벗』을 중심으로 -
...작품’으로 강조된다는 점에서 분석이 필요한 텍스트에 해당한다. 『1932년』은 ‘수령형상문학’의 출발을 알리는 ‘총서 <불멸의 역사>’의 첫 번째 장편소설에 해당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수령형상의도식화’를 강제하면서 무오류적 영웅의 일대기를 서사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독해의 대상이 된다. 1980년대 북한문학은 ‘주체의 인간학’을 발전시키기 위해 ‘작품의 종자’를 똑바로 잡으면서, 새로이 ‘청년공산주의자들의 형상과 숨은 영웅들의 형상”을 창조할 것이 강조된다. ‘숨은 영웅’들은 ‘높은 당성과 심오한 철학성, 도식주의의 극복’을...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의 북한 단편소설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고찰 -사회주의적 이상과 현실의 균열적 독해-
...지속적인 검토 속에 현재진행형이다. 그러나 아직 북한 문학 작품 속에 반미 구호가 반영되어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 냉전적 대결 구조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하지만 북한 사회의 단편소설을 꼼꼼히 분석하면 당문학의 검열 체제 아래에서도 이면적 현실을 독해할 수 있다. 즉 북한 사회의 이상과 괴리된 현실적 조건들이 곳곳에서 암시적으로라도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목을 균열적 틈새 읽기로 읽어낸다면 북한 체제의 사회적 전망과 다르게 드러나는 인간적 욕망의 미세한 표정을 들여다보면서, 북한 문학의 진정한 재미를 확인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면적 독해의 방식이 북한 문학과 남한 독자의 간극을 좁혀 남북한 문학의 점이지대를 확장하는 방법이 되어 남북한 통합문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우리’에 대한 비판적 성찰: 남북한 동질성 회복 담론에 대한 인정론적 이해
... 출신 주민 간 관계에 대한 인식, 공동체 안에서의 지위에 대한 인식을 독해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남북한 주민들이 동질감 형성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고 있는지 진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