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핀 나랑의 최적화 이론을 통한 북한의 핵전략 분석: 트럼프 2기 행정부 시기의 전망
...북한의 핵태세(nuclear posture)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 있을 것이다. 우선, 북한이 핵개발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동인에 대해 살펴보고 북한이 핵을 포기할 의지가 없으며 궁극적으로는 사실상 핵보유국 지위를 추구한다는 점을 주지하면서 북한의 핵능력을 검토하고, 이러한 능력을 바탕으로 어떠한 핵전략을 추구할 것인지 분석한다. 북한의 핵태세 분석에는 비핀 나랑(Vipin Narang)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Nuclear Optimiz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이론의 각 변수를 중심으로 북한이 추구할 핵태세를 점검하고, 현 안보 환경 아래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시기의 북한이 택할 핵태세가 촉매전략에서 확증보복태세로 변화할 것임을 논한다. 국제적으로 고립된 북한이 더욱 공격적인 핵태세를 통해 트럼프 2기...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전략: 왜 확증보복태세인가?
비핀 나랑이 <현대 핵전략>을 통해 지역 핵국가들의 핵전략을 촉매태세, 확증보복태세, 비대칭확전태세로 구분한 이후 이를 북한에 적용한 연구들이 다수 제시되었다. 즉, 북한의 핵전략이 비대칭확전태세, 확증보복태세, 유사시 상황에 따라 태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주장이 병립하는 가운데, 본 논문에서는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전략이 확증보복태세임을 주장한다. 나랑이 ‘핵태세 최적화 이론’에서 제시하는 핵전략 선택의 변수(신뢰 가능한 제3의 후원국 유무, 재래식 전력이 우세한 적대국의 근거리 공격위협 직면 여부, 당‧군관계의 특징 등)를 논리에 따라 차례로 적용한 결과 북한은 첫째, 중국을 신뢰할 수 있는 후원국으로 간주하지 않고, 둘째, 한미동맹에 대한 피포위의식에도 불구 당장 정권생존에...
[학술논문] 파키스탄 및 북한의 핵전략 연구: 비핀 나랑의 ‘비대칭 확전 태세’의 접근과 한계를 중심으로
비핀 나랑은 ‘핵태세 최적화 이론’과 후속 연구를 통해 현재의 파키스탄과 북한을 모두 ‘비대칭 확전 태세’로 분류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나랑의 접근이 두 사례에 대한 개별 분석뿐 아니라 관계적 상황, 안보 목적 및 대상과 같이 사례 간 상이한 요인들로 인해 동일한 핵태세로 유형화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비대칭 확전 태세를 적용하여 파키스탄 사례를 분석할 경우, 미국-파키스탄 간 안보보장의 전략적 특수성과 미-인도 관계로 인한 복잡한 관계 역학을 설명하지 못한다. 동 유형은 북한 사례에서도 장거리 미사일 개발과 같은 ‘공격적’인 태세와 정권의 특수성, 한반도의 관계적 역학을 고려한 종합적 분석을 제시하지 못한다. 미‧중 전략경쟁의...
[학술논문] 핵무력정책법에 드러난 북한의 핵전략: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중심으로
2022년 북한은 핵무력정책법을 공표하였다. 핵무력정책법의 공세성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비핀 나랑의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통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나랑의 이 론은 지역 핵 보유국의 태세를 촉매형, 비대칭확전, 확증보복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다. 핵전략을 결정하는 변수로는 후원국, 안보환경, 민군관계, 그리고 자원제약이며, 이 변수들은 각각 순차적으로 핵 태세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학자들이 나랑의 이론 을 통해 북한의 핵전략을 분석했으나, 학자별로 의견은 분분하다. 북한의 핵 전략을 규 정하는 핵무력 정책법에서 촉매 태세는 나타나지 않으며, 비대칭확전과 확증보복이 혼 합된 형태가 나타난다. 이러한 이중성은 북한의 안보 환경 변수에서 한국과 미국이라는 두 요소가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북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