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탈북경험담에 나타난 트라우마 분석-『고난의 행군시기 탈북자 이야기』 이승준 사례를 중심으로-
...경향은 연극성 성격장애의 특성과도 관련되는 것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이승준의 트라우마의 특징에는 연극성 성격장애적 기질이 있다고 파악될 수 있었다. 이렇게 연극성 성격장애와 관련지어봄으로써 앞으로 그가 경계해야할 것은 연극성 서사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연극성 기질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 연극성 서사를 자주 접하게 되면 오히려 연극성 기질의 비합리적 신념이 강화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연극성 기질을 지닌 인물에게는 자기독립성이 강화될 수 있는 서사가 제안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이승준은 가족들을 자신이 잘 거둘 수 있었으면 좋았으리라는 소망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바램은 부모되찾기서사와 호응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부모되찾기서사에 해당되면서도 당당한 자기 목소리를 갖고 있는 <내...
[학술논문] 대북 억제전략의 효과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新억제전략의 3요소를 중심으로
...도발의 지속원인에 대해 분석시 북한의 입장, 특히 북한의 도발 의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즉, 북한의 전략적 취약성과 국내정치적 필요성이 도발의 중요한 원인이 되어 왔으며, 그러한 필요성에 의해 동기화된 북한의 전략 자체를 공격함으로써 억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둘째, 북한 정권지도부는 과거의 학습효과, 소망하는 사고, 신념체계 등 잘못된 인식의 영향에 의해 비합리적일 수 있으며, 이러한 비합리성은 억제의 신뢰성을 방해할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비합리성은 북한 정권지도부의 주관적인 인식의 문제이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억제전략을 구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억제능력에 있어 ‘능력’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능력’의 개념은 대부분...
[학술논문]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불안에 관한 연구
...불안 도구 구성에 건강, 환경, 취업 준비도가 관련성이 높은 범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취업 불안과 관련한 신체적 건강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었고, 이와 관련해 만성질환 재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심리적 건강 측면에서는 불안, 걱정, 우울, 가치 없게 느껴지는 것과 같은 부정적 심리 반응들이 보였고, 특히 무력감 등을 포함한 비합리적 신념도 확인되었다. 두 번째, 환경 부분에서는 취업 불안과 관련하여 가족에 대한 지지와 취업의 상담지원, 경제적 지원 요구가 확인되었다. 마지막 취업준비도 중 구직행동의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있어 다양한 반응들을 보였고, 의사소통기술능력, 문화 적응력, 정보 수집력을 포함한 구직기술력 부분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을 호소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