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 조선총독부 경찰관료와 사상범의 ‘식민지 조선’ 회고와 남·북한 인식
This paper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historical recognition between the pre-colonial police official(Tsuboi Sachio) and pre-political offender (Isogaya Sueji), especially recollect of one’s life in colonial korea’s era and South and North korea recogni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Tsuboi emigrated to colonial korea for the purpose of university entrance, after graduation he passed
[학술논문] 한반도 통합문학의 가능성 탐색-월북 이후 이기영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당대 리얼리티가 살아 있는 인물들을 마주할수 있었다. 먼저 「개벽」은 불안한 지주 황주사와 소심한 소작농 원첨지 등을 비롯하여 인물들의 개성적 성격을 입체적으로 포착하면서 해방기 북한 사회의 풍경을 현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형관」 역시 해방 직전의 농촌을 배경으로 강제 징용을 둘러싼 일제와 농민들의 갈등을 그리면서, 농민 김부득과 허달삼을 중심으로 사상범 전력이 있는 문사 박철 등의 일화를 통해 일제 말기 풍경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는 텍스트에 해당한다. 반면에「땅」 과 「두만강」은 ‘토지개혁’과 ‘한국전쟁’, ‘민족해방운동’ 등의 주제에 대한 목적성이 과잉되어 서사적 한계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작품들에 해당한다. 물론 「땅」에서 주인공 곽바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