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
...사회교리에 주목하여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를 분석하였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사회교리는 학문적 대안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평화의 제1전제로서 인간 존엄성을 강조함으로서 과학적 대안들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념 대결의 극복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지향에서 학문적 대안은 많이 제시되지 않았지만 사회교리는 남북한 모두에게 민주화는 물론 이 민주화의 전제로서 인간화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군사적 대치를 지양하는 평화주의의 실현에서 학문적인 모든 대안들의 한계를 극복하는 호소로서 사회교리는 인간 존엄성의 자각을 강조하고 있다. 보편주의의 실현이라는 민족공동체의 형성에서 학문적 대안과 가톨릭 사회교리 모두 무조건적인 교류와 지원을 강조하지만 현실정치와의 괴리는 불가피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사회교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