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학의 전쟁과 행복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 『행복』과 할렘스끼의 「행복」)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의 (재)의미화 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한국전쟁으로 인한 상실ㆍ희생을 이념적으로 보상하고 서사적으로 의미화하는 데 있어 제2차 대전 배경 소련의 소설ㆍ영화가 중요한 참조점이 됐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북한에서 ‘2차 대전≒한국전쟁이라는 세계사적 의식’이 사회주의적 세계성을 중심으로 구축되었다는사실을 논했다. 아울러 ‘사회주의 건설 투쟁에서의 행복’과 ‘사회주의 건설 이후의 행복’을 각각부자 또는 형제 사이의 남성적 세대 갈등으로 서사화한 사례 및 ‘공적 행복’과 ‘사적 행복’을 젊은부부 사이 젠더 갈등의 모티프로 서사화한 사례를...
[학술논문] 월북미술가의 북한에서 작품 및 활동 연구-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따른 작품의 주제별 연구를 중심으로
...냉전체제에서 소련, 중국,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의 예술 창작의 기본 방침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이다. 북한미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근간으로 북한 당국의 지침에 따르는 사회주의 노선에 근거를 둔 작품이다. 이러한 방침에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가들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바탕을 둔 기법과 정부가 제시한 주제의 작품을 그린다. 따라서 북한당국의 정책에 따른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은 시기별로 내용별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미술사』를 근거로 시기 구분을 하였으며, 월북미술가들은 제1시기에 인민군을 묘사하거나, 김일성의항일투쟁의 사적지, 북한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관한 내용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2시기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인민의 행복을 주제로 한 작품을 그린다. 제3시기는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위해 농민과...
[학술논문] 1950~1960년대 북한 아동가요의 지향
...풍요로운 감성은 아동들의 실제 바탕으로 한 낙천적이고 밝은 동심의 추구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가요 창작의 양상을 검토하면서 창작에서 기본적으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방법론에 의한 창작이 요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아동가요 작품을 검토하면서 아동가요의 음역에 대한 논의, 가사의 억양과 선율의 조화, 연령에 따른 가사와 리듬, 아동가요에 적용된 민족적 성격의 양상, 개성적인 아동가요 창작 요구 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950~1960년대의 아동가요는 아동들을 고상한 애국주의로 교양하고, 노동을 즐기며, 부정의를 미워하고 새것을 사랑하며, 자기 조국의 행복한 미래를 위해서는 생명을 아끼지 않는 불굴의 투사로 육성하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예술이나 음악을 통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는 기능이 상실되었다고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