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산 속의 북한여성: 하위주체로서의 여성의 삶과 정체성의 정치
이 논문은 사회주의 혁명에서 경제난, 탈북 및 한국정착에 이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변동과 맞물려 재구성되는 현대 북한여성의 정체성의 정치를 탐색한다. 기존 연구에서 하위주체로서의 북한 여성의 삶은 국가권력에 동원되는 수단으로서 피동적인 대상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경제난 이후부터 한국정착에 이르기까지 이산의 과정 속에서 북한 여성 주체들은 기존의 사회질서에 도전하고 새로운 질서에 비판적으로 교섭하는 적극적인 행위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에서도 논의되었듯이 젠더화된 하위주체로 위치되는 여성의 삶은 반드시 지배/피지배의 이분법에 의해 타자화된 희생양으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논문은 경제난, 탈북과정 및 한국정착에 이르는 이산의 흐름 속에서 북한 여성들의 정체성이 어떻게...
[학술논문] 북한 영화에 나타난 이상적 여성상 비교분석 - ‘우리의 향기’와 ‘백두의 봇나무’를 중심으로
This study have focused on North Korean film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North Korea more realistically. After analyzing two North Korean films which were broadcasted in 2000s, we have concluded as follows: ideal types of women had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nd situation of the movie. When the background were focused on revolutionary war, the ideal types had been expressed
[학술논문] 북한이 지향하는 여성상 비교: 정부간행 잡지기사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이론을 중심으로 진행된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연구의 흐름은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페미니즘 의 제1의 물결(1840~1920년대)을 형성했던 자유주의 페미니즘, 제2의 물결(1960~1990년대)을 형성했던 사회주의/급진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제3의 물결(1990년대 이후)을 형성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페미 니즘으로 이어져 왔다. 이러한 흐름은 역사와 문화가 상이한 자유주의 국가들과 사회주의 국가들에서 각 각 형성된 사회적 성역할에 대한 연구의 차이를 보여주는 반면에, 상이한 사회체제에서의 페미니즘 연구 를 직접 비교하는 것은 역사와 문화의 상이함으로 인해 쉽지 않다. 그러나 근대 이전까지 동일한 역사와 문화를 공유했던 남한과 북한 사회를 기반으로 한 본 연구는 페미니즘의 이슈가 자유주의와 사회주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