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과 북한에서 시장-자본 메카니즘의 변용과 지속-국가자본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DPRK'sstate-capitalist system and state-socialist system. Basic viewpoints in thisstudy are structural holism perspectives in the World-System and complexsystem approaches. Since the Red Revolution in 1949 the development path of Chinesecommunism system followed 3 steps: the withdrawal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the performance of the
[학술논문] 북한사회의 합심(合心)주의 마음문화
북한 사회는 ‘사회주의 현대성(socialist project of modernity)’을 경험한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맑시즘의 합리성(과학성)과는 거리가 먼 일심단결(마음의 결합, 즉 합심 혹은 한 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논문의 궁극적 관심은 북한 사람들의 심층에 내재해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마음 문화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 조응의 대상인 정치경제체제(혹은 사회주의체제) 사이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북한의 합심주의 마음문화를 분석하기 위한 유형론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식 사회주의 현대성의 전개와 북한사회에 내재하는 마음문화의 사상적 토대 및 사회적 맥락을 확인하고, ‘합심주의’라는 개념적 장치가 두 차원을 연결할 수 있는 매개개념임을 논증하고자...
[학술논문] ‘분단과 통일’의 미학예술학적 과제
...새로운 창출이라는 점에서, 포이에시스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미학예술학의 과제이다. 둘째, 둘 다 공통감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예술 역시 통일이라는 분단 극복이라는 정치적 프로젝트와 실천적인 행위를 공유한다. 그렇지만 정치적 통일이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다. 정치적 통일이 혁명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곧 문화적이고 내적인 통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통독 이후의 그림논쟁(Bild-Streit)은 그 실상을 잘 보여준다. 주로 수령상, 사회주의 혁명투쟁과 새 국가건설, 6.25 전쟁, 국가영웅과 사회주의 ‘지상낙원’ 찬미 등을 주제로 채택하고 있는 공식적인 ‘북한미술’들은 북한의 정치체제의 통제 아래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외양상 남한의...
[학술논문] 김정은 체제의 ‘청년중시’ 정책에 관한 연구
...존재감을 각인시키며, 청년들을 결속하고 있다. 또한 김정은 체제의 대규모 건설프로젝트 등의 수행을 위해 청년들의 노력동원의 확대와 청년교양이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김정은 체제의 새로운 시대정신으로 ‘백두산영웅청년정신’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어려운 환경에서도 최선을 다한 청년들을 사회를 이끄는 주역으로 내세우고, 김정은 시대만의 ‘청년 전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김정은 체제는 ‘청년중시’ 정책을 통해 청년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에서 나아가 청년세대를 결집시키고, 체제유지를 위해 이들의 역할을 최대한 도모하려고 한다. 앞으로도 북한은 체제유지와 사회주의 경제강국 건설을 위해 청년들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학술논문] 사회주의적 생활 양식으로서의 위생: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의 위생 문화 사업을 통한 대중 개조
...the soci- etal and political factors that drove the project. The Hygiene Culture Project began as a communicable diseases prevention project in the 1940s. From 1958, when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alistic economic system was complete, however, public hygiene was promoted as part of a broader cul- tural revolution. The hygiene Culture Project not only included previous disease preven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