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감각과 기억의 발화 양상 - 해방1주년기념시집 『거류』를 중심으로
...북조선분국과 북조선로동당 사이에서 출간되었다. 해방1주년은 급격한 정세 변화와 문화적 지형 변화가 이루어지던 때였으며, 동시에 민주개혁의 성과가 가시적인 때였다. 이 사이에서 시집이 기억하는 해방은 역사적 기억의 현장성을 선명히 보여주며 격정적 감정을 호출하였다. 해방 이후는 해방 전과의 명암대비로 나타난다. 해방의 주역으로 소련과 김일성이 각각 빛의 상징투쟁을 벌이긴 하나, 해방 후를 지배하는 태양의 알레고리는 새 역사와 김일성을 중첩하는 경우가 많아 북한 문학의 수사적 전통의 기원이 이미 형성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거류』는 흥분된 어조로 해방의 감격을 재현하는 동시에 민주개혁 이후의 성과는 평양중심이라는 공간적 전회로 표출되었다. 서울/남쪽과 평양/북쪽의 대비, 민중/인민의 대비는 해방 후 새로운 문화와...
[학술논문] 북한문학에 나타난 평양의 ‘전근대-근대-현대’ 심상지리와 주체체제의 문화정치
이 글에서는 북한 문학에 나타난 평양의 수도 이미지, 심상지리를 통시적으로 분석한다. 분단체제를 형상화한 북한 수도의 문화 표상과 상징 투쟁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문학 텍스트에 담긴 평양 주민들의 자기 수도에 대한 자부심은 분단체제의 심리적 기제로 정착되었다. 북한 문학을 ‘전근대-근대-현대’ 등 통시적으로 개관해볼 때 해방 전 일제 강점기에는 부정적 이미지가 많았다. 반면 북한문학에 그려진 해방후 현대 평양의 수도 이미지는 찬양 일색이다. 평양은 6.25전쟁 때문에 전통 문화 유산과 식민지 도시의 면모는 철저히 파괴되었지만, 그 덕분에 사회주의적 계획 도시의 위용을 자랑한다. 더욱이 1967년 주체사상 체제가 확립된 이후 ‘주체형’ 현대 도시로 거듭나는데, 천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