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주민에 대한 상충적 태도와 적극적 통일인식에의 영향: 순차적로짓분석과 이분산프로빗분석의 적용
...상충적 태도와 통일인식에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북한주민 일반과 그 부분집합으로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어떻게 발생하며, 이러한 차이가 적극적 통일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한국사회의 북한주민에 대한 복합적․이중적 인식, 특히 북한주민일반과 탈북주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현실의 문제이며, 현재와 미래의 통일정책 설계에도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정치심리학의 상충적 유권자 이론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주민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그 영향을 상충적 태도(ambivalent attitudes)의 틀로 구체화한다. 분석 결과, 이념적으로 덜 경도될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북한주민에 대한 상충적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북한주민에 대해 상충적 태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