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北韓語 色彩 派生語의 派生 樣相과 意味 分析 – 조선말대사전(2017)의 色彩語를 對象으로–
...고유어 색채 파생어의 파생 양상과 의미 분석을 통해 한국어 색채어의 인식과 표현 방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궁극적인 연구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최윤(2022)의 후속 연구로서, 본 논문에서는 ‘조선말대사전’에 등재된 색채어를 대상으로 한 자료 분석을 통해, 북한어 색채어의 파생 양상과 접사의 의미 자질을 살펴 보았다. 연구 결과, 색채어류별로 결합하는 접사의 수와 결합 방식에서 차이가 나타나며 각 색체어별로 파생어 상이한 파생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생 접사별 색채어류에 따른 파생어 수를 확인하여 접사별 파생력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조선말 대사전’의 사전 뜻풀이를 바탕으로 색채어 파생 접사의 의미 자질을 ‘평가 태도([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