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만과 자멸(自蔑), 식민지민 디아스포라의 재현-기억-손소희의 『남풍』(1963)을 중심으로
...것이기에 기만적인 것으로 그려질 수밖에 없고, 『남풍』은 이 역사적인 장면을 ‘희한한 것’, 즉 이상한 것으로 포착했고, 이는 작품의 주요 화자인 세영이 ‘이등신민’으로서의 재만 조선인, 식민지민 디아스포라였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성립 이후 동아시아의 질서는 새롭게 재편되었다. 제2차 대전의 주요 전범국이었던 일본은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 체결 이후, 냉전 체제 하 미국주도로 고안된 반공블럭 내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저지하는) 아시아 방위를 담당하는 국가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제 원조를 강력히 필요로 했던 경제적 후진성, 동시에 북한과의 치열한 체제경쟁을 치러야 했던 1950년대의 제반 상황은 남한으로 하여금 대일관계를...
[학술논문]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동북아 영토의 귀속에 대한 소련의 입장 : 샌프란시스코 대일평화조약 초안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본고는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1951. 9. 8.)이 체결되기까지 초안을 둘러싸고 소련이 미국과 벌인 줄다리기를 원문에 충실하며, 그러한 입장변화 원인을 소련측 입장에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소련은 전쟁 직후 연합군사령부가 내린 일련의 명령과 평화조약 초기 초안에 따라 쿠릴열도와 독도가 일본으로부터 반환된다고 믿고 있었다. 이는 얄타회담에서 연합국이 동의한 바였다. 그러나 중국의 공산화와 6·25전쟁으로 인해 동북아 정세가 급변하였다. 미국은 공산주의 확산을 우려하면서 일본 재무장으로 돌아섰고, 더욱이 응당 반환되어야 할 영토는 불확실해져 갔다. 이 과정에서 소련은 미국이 대공산진영 외교전략을 가동한 상태에서 중국 모택동과 북한 김일성을 지나치게 후견함으로써 영토문제에 내재된 자국 이해를 상실한...
[학술논문] 한국전쟁 휴전회담과 전후체제의 성립
...이승만 제거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한미상호방위조약 협상에 나섰다. 한국군 통제를 위해 미국은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계속 유엔군사령관에게 둘 것을 요구했고, 이승만 대통령은 편지로 이를 수락했다. 한국전쟁의 와중에서 미국은 일본과 평화조약을 체결했다. 1951년 봄 한국전쟁의 위기를 실감한 미국은 관대하고 우호적인 평화조약이자 반공조약을 체결했다.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함께 미일안보조약이 체결됨으로써, 일본은 평화와 안보를 교환했다. 한국은 조약서명국은 아니었지만, 이 조약의 영향 속에서 일본과 한일회담을 진행하게 되었다. 휴전 이후 남북한은 인적․물적 피해 위에 분단의식, 적대의식이 심화되었다. 한반도에는 적대적 관계가 상존하는 휴전체제가 지속되었다. 휴전 후 정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네바정치회담이 개최되었지만...
[학술논문] 한미상호방위조약의 국제법적・외교적 함의와 파급효과
...발생시켰으며, 북․중 동맹관계를 견제하는 외교․군사적 대응 메커니즘으로 작동하였다. 한미상호방위조약은 무엇보다도 한미동맹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이바지하였으며, 그로 인한 국제법적․외교적 파급영향도 매우 컸다. 1957년 한미우호통상항해조약 체결의 견인차 역할을 했고, 유엔전문기구 등에서 국제협력의 토대를 구축․확대하는 데 많은 기여를 했다. 또한 한국이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체제에 간접적으로 가담하는 한편, 1965년의 한일 국교정상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한국이 한미상호방위조약을 통해 미국을 지구상의 여러 나라들 가운데서 유일한 동맹국으로 수용한 이상 동맹국에 걸맞게 미국을 대접하고 예우해야 한다. 21세기 우리는 한미상호방위조약을 바탕으로 한미관계를 ‘21세기 글로벌 전략동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