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 이동(移動)의 재해석 : 노마드(nomad)로서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북한이탈여성들의 이동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이들의 새로운 정주지인 남한사회에 어떤 의미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9명의 연구참여자와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현상들의 통합적인 구조는다음과 같았다. 우선 노마드로서 연구참여자들은 생명력 회복을 위한 도주를결정하면서 아시아 각국을 이동하였다. 이 범주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추상적진술을 바탕으로 한 주제들은 ‘일상의 코뚜레’, ‘무희망’, ‘방랑의 원초적 열망’, ‘인간 존엄성의 상실’ 이었다. 다음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역동적 이동은노마드적 사유와 변화, 즉 자신들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학술논문] 민주법학의 새로운 실험
...싹들을 접붙일 수 있다. 우리는 삶의 불확실성 속에서 기성제도를 땜질하고 예언과 희망을 통해 미래로 나아간다. 인간은 상상력을 통해서만 영감을 얻고 실험을 통해서만 권능을 강화한다. 인간은 개인으로서 생애적 시간 안에서는 작은 승리들을 맛보겠지만 인류로서는 역사적 시간 속에서 위대한 승리에 다가설 것이다. 그러나 투쟁을 멈춘다면 죽은 구조들이 우리의 생명력을 마지막까지 빨아들이고 인간을 구조의 좀비로 몰락시킬 것이다. 운명으로 받아들이라는 구조에 맞서서 민주주의를 심화하고 개인의 정치적 경제적 인성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바로 민주주의자들의 역할이다. 웅거는 이러한 사고방식을 민주적 실험주의라고 불렀다. 민주주의자들에게는 함께 문제를 만들고 함께 토론하고 함께 결정하고 함께 나눠야 하는 정치적 책무가 존재한다...
[학술논문] 오오가키 다케오(大垣丈夫)의 자조론 연구
...「자강」ㆍ「독립」 운동에 참여한것은 조국인 일본을 위한 함정 파기였다는 기존의 부정적 평가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연구는 자조론을 수용한 지식인들이 주권을 상실한 이후, 어떻게 자주 독립의 이론적 기반이었던자조론을 세속적 입신출세 지향인 성공주의로 전환해 갔나에 대한 정치사상사적 연구의 선행 연구로서도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나아가 다음 주제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파급효과도 가져 올 수있다. 즉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자조론의 역사적 수용과 수용 양식의 비교 연구’라는 주제의 한 축이 될수가 있으며, 통시적인 고찰로서는 자조론이 해방 이후 남한의 새마을운동과 북한의 천리마운동에이르기까지 어떻게 현대 한국사회에서도 지속적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도 가능해질수 있다.
[학술논문] 전쟁에서 ‘민중’을 발견하다 -강진철의 대몽항쟁사 연구-
...천착한 대표적 학자이지만, 고려시대 거란 및 몽고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업적을 남겼다. 강진철이 제안한 몽고 침입에 대한 시기 구분은 지금으로서는 가장 유효한 틀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몽항쟁 항전의 주체로서 노비, 농민과 같은 민중들을 부각한 것, 삼별초 봉기의 역사적 의의를 민중의 반몽, 반정부 항전에서 찾은 견해는 지금도 가장 설득력 있는 해석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의 대몽항전 민중주체론은 북한사학의 ‘인민 항전론’과는 구별되는, 사실에 대한 객관적 파악에 의한 결론이었다. 강진철의 연구가 현재에도 여전히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사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한 그의 역사적 통찰 때문이었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은 대몽항쟁사 연구에서도 일관되고 있다.
[학술논문] ‘하찮음’의 생명력: 중국, 한국, 북한의 근로인민과 ‘너구리’ 서사
In China, South and North Korea, the archetype of the “raccoon dog” has appeared as a figure that alleviates human worries and sorrows through small transformations, disguises, and humor. Thanks to this very “insignificance,” the raccoon dot remains a familiar presence for today’s people, creating room for variation, in digital art culture. The raccoon dog character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