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향가
...주체미학적 관점을 강조했다. 향가가 ‘인민대중의 집단적 노동요’ 즉 ‘두레노래’에서 나왔다는 관점은 북한의 모든 문학사들에 공통된다.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필수요건인 ‘인민성ㆍ당성ㆍ노동계급성’ 가운데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조할 필요 때문이었을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의 인민대중 속에서 불리던 생활가요들이 상당기간 후에 고안된 향찰 書寫法으로 기록되면서 구체적인 시 형식으로 나타난 장르가 향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書寫의 과정은 형식적 整齊를 이루어 나가던 加工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노래 즉 ‘읊던 시가’에서 시문학 즉 ‘쓰는 시가’로의 전환을 향가에서 찾아낸 점은 시가사 전개 양상의 합리적 발견이었다. 개별...
[학술논문] 북한의 음악정치- 5대 혁명가극을 중심으로
북한의 음악정치는 김정은 시대에도 중요한 선전‧선동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북한의 3대 후계자로 김정은의 등장을 처음 알린 것은 김정은을 찬양하는 노래 중에서 가장 먼저 발표된 <발걸음>이 2009년 10월 9일 밤 북한 관영 조선중앙TV에서 합창되는 장면이다. 이후 <발걸음> 노래는 조선인민군공훈합창단이 신년음악회에서 합창곡으로 연주하는가 하면, 모내기 작업 중 인민들을 대상으로 <발걸음>을 지도하는 장면이 방영되었으며 각종 스포츠대회와 집단체조 아리랑, 수중발레, 태양절의 열병식 음악으로 이용되고 있다. 북한에서 음악은 예술이 아니다. 그것은 무기이며 투쟁의 수단이다. '일종의 정치'인 것이다. 북한의 음악은 “대중 교양의 훌륭한 수단”의
[학술논문] 21세기 북한의 음악- 교류와 협력을 중심으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거기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남북음악의 교류안과 협력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변화라 하더라도 남북이 공유할 수 없는 내용은 배제를 하고, 앞으로 있을 실현 가능한 ‘교류’와 ‘협력’에 초점을 맞춰 고찰하였다. 내용은 크게, ‘2018년 남북교류공연의 특징’,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전통음악의 변화’, ‘생활가요의 등장과 확산’, ‘근대노래의 재해석과 남북이 공유하는 노래’, ‘분단 이후 남한 노래의 북한 전파’, ‘음악 분야의 교류 협력 안’ 등으로 나누어 고찰을 하였다.
[학술논문]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북한 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통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북한의 음악 양식 중 기악 음악에 대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생활 가요, 신민요, 계몽기 가요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셋째, 북한음악 선호도에 대한 질적 응답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이 긍정적 반응을 보인 기악 음악과 생활 가요에 대한 선호도 선택 이유에 있어서 친숙함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반응이 많았던 신민요와 계몽기가요의 경우에는 남․북이 공유하고 있는 음악이지만 북한 특유의 발성기법에 대한 거부감과 사회문화적 괴리로 인해 낮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중학교 음악수업을 위한 북한음악 선호도 분석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북한 음악에 대한 선호도는 통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북한의 음악 양식 중 기악 음악에 대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생활 가요, 신민요, 계몽기 가요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셋째, 북한음악 선호도에 대한 질적 응답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이 긍정적 반응을 보인 기악 음악과 생활 가요에 대한 선호도 선택 이유에 있어서 친숙함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반응이 많았던 신민요와 계몽기가요의 경우에는 남․북이 공유하고 있는 음악이지만 북한 특유의 발성기법에 대한 거부감과 사회문화적 괴리로 인해 낮은 선호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