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그러진 조국-검역국가의 병리성과 간첩의 위상학
...필연적으로 마주칠 수밖에 없던 일본과 북한이라는 내밀한 ‘자기-타자’를 외부화시키던 방식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재일조선인 청년들이 모국유학을 위해 현해탄을 건너오기 시작한 것은 60년대 중반 한일협정이 체결되고 나서부터였다. 그리고 1971년에 이르러 이들 유학생은 불미스러운 사건의 주인공이 되어 한국의 공론장에 등장했다. 서승ㆍ서준식 형제가 연루되었던 ‘재일교포유학생 간첩단사건’을 시작으로 한국사회에는 유사사건이 쉼 없이 터져 나왔으며, 이 시기의 사건들은 50ㆍ60년대에 비해 빈도수, 규모, 사회적 파장 등 여러 면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재일조선인’과 ‘간첩’ 사이의 하이픈을 구성하는 권력의...
[학술논문] 박근혜 정부 시기 한국의 대 중국 전략적 사고에 관한 고찰 : 북한/한반도 환원주의, 중견국 외교, 그리고 반도숙명론
박근혜 정부의 한・중 관계는 중국경사론이 회자될 정도로 긴밀화되었다가 2015년 말 이후 북핵・미사일 개발과 사드 배치 문제를 계기로 급전직하했다. 이를 반영하듯 대중 정책 평가도 전략부재론 등 부정적인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전략의 부재가 전략적 사고의 부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한・중 양국의 대일 과거사 연대, 한・중 FTA. TPP, AIIB 등 경제협력 문제, 북한/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한・중 관계, 그리고 사드 배치 문제를 분석하여 대중 정책에 의거한 전략적 사고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외교・안보 정책의 북한/한반도 문제 환원주의와 원교근공 어프로치의 지속성, 중견국 외교와 약소국 외교(반도숙명론) 사이의 급격한 유동성, 그리고 강대국 정치 및 강대국 간 지정학 게임을 극복(균형외교)하거나
[학위논문] 북한이탈 청소년 전환교육 모형연구
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효과적인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한 새로운 교육 모형을 찾아보는 데에 있다.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성공적인 적응을 추구하는 새로운 틀로 장애인 전환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전환교육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학생의 개별적인 상황과 잠재적인 능력을 중요시하며, 교육과 종합적인 서비스를 강조하는 '장애인 전환교육' 모 형이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교육에 적합한 이유와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보고 자 하였다. 본 논문은 다양한 교육 지원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이 그리 효과적이지 않다는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주요 원인을 살펴본 결과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첫째, 북한이탈 청소년의 개인적인 측면에서 탈북과 남한
#서승희 # 북한이탈 청소년 전환교육 모형 # 전환교육위원회 # 전환교육 코디네이터 # 개인 중심 계획 # 맞춤형 지원서비스 # 전환교육계획 # Transition model for adolescent defectors from North Korea # multidisciplinary transition team # transition case manager or coordinator # person-centered transition plan # individualized transition service # transition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