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세계보건기구(WHO) 가입과정과 1950년대의 사업성과
The Republic of Korea(ROK)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have done many projects successfully from 1949, in which the government of First Republic joined the WHO.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ROK and the WHO have not been studied very much so far. The main purposeof this research, which could be done by the support of WHO, is connected with three questions. First research point would be
[학술논문] 미국·러시아·중국 사이의 미사일방어(MD)와 전략적 안정성 논쟁
...러중 양국은 이란, 북한 등 핵미사일 위협에 당면한 지역 국가들의 안보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차이점은 러시아는 동유럽에 배치되는 미국의 MD의 요격미사일의 위협을 중시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다탄두탄도미사일 등 공격용 미사일을 증강 혹은 질적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미국과의 전지구적 차원의 군비경쟁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하면서, 동아시아와 서태평양에서 지역적으로 우세한 중단거리 미사일의 전략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의 MD체계의 한 부분인 THAAD체계의X-band 레이더를 집중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미국의 MD 배치를 수용한 한국에 대해서 외교적ㆍ경제적 압박을 행사한 바 있다. 그런데 미국과 러시아 간에는 전지구적 안보딜레마와 군비경쟁을 해소할 수 있는 핵군축과 중거리미사일폐기조약 등의...
[학술논문] 코로나 사태 이후 미국의 아시아 전략: 21세기형 봉쇄전략의 태동
...중국의 군사적 팽창을 저지하는 작업이고 연성 봉쇄는 글로벌 가치 사슬로부터 중국을 퇴출시키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A2AD) 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공해전(Air-Sea Battle) 개념을 채택했었는데;이를 육해공 합동작전으로 발전시켰고;영역도 사이버와 우주까지 포함해 다전장영역(multi-domain)에서 미국이 오랫동안 누려온 서태평양 지역 패권을 수호하려고 한다. 여기엔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한 첨단기술의 획득이 동시에 수반된다. 이러한 개념과 작전들을 합치게 되면 육·해·공·사이버·우주 등 다전장영역 차원의 대 중국 봉쇄전략이 된다. 그러나 중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연성 봉쇄는 오랜 기간 중국과 교역하고 투자한 나라들이 단기간 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