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석탄산업과 북․중무역에 관한 연구:북한 순천탄광지구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다양한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북한순천탄광지구를 중심으로 지난 20년간 진행된 북·중 무역을 통해 북한경제구조의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외화벌이생산기지의 수가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시장적 요소가 증대되었다. 즉 북한에서 무역을 최종적으로 실현하는 경제단위는 ‘와꾸(무역허가권)’를 획득한 상급 무역회사지만 이들의 무역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원천은 무역회사의 말단 생산단위인 ‘외화벌이회사’였다. 특히 특권기관의 상급무역회사는 무역이 증가해도 ‘와꾸’라는 제도적 장벽으로 인해 증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에 외화벌이생산기지는 생산 말단단위로서 시장수요에 맞게 대응해야 한다. 즉 무역회사는 소수 특권기관이 점유하는 독과점구조라면
[학술논문] 자원개발정책 60년: 회고와 전망
...통해 최빈국에서 세계 10위권의 선진국(2021년 GDP 기준)으로의 도약을 실현하였다. 이러한 급속한 경제·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자원개발 정책 또한많은 변화가 압축적으로 진행되었다. 지난 60년간의 주요 자원개발 정책을 살펴보면 외환 확보와산업화에 필요한 원료 및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한 광업 육성정책을 시작으로, 1990년대 이후 석탄산업의 합리화와 석유, 천연가스, 기초금속 등 막대한 규모의 자원 수요 충당을 위한 해외자원개발정책 추진, 국제적으로 확산된 지속가능개발정책 트렌드에 따른 친환경 자원개발과 광해방지 사업의 추진 등 다양한 정책들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남북한 간의 자원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이 전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정부 수립 이후 후 지금까지...
[학술논문] 자원개발정책 60년: 회고와 전망
...최빈국에서 세계 10위권의 선진국(2021년 GDP 기준)으로의 도약을 실현하였다. 이러한 급속한 경제·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자원개발 정책 또한 많은 변화가 압축적으로 진행되었다. 지난 60년간의 주요 자원개발 정책을 살펴보면 외환 확보와 산업화에 필요한 원료 및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한 광업 육성정책을 시작으로, 1990년대 이후 석탄산업의 합리화와 석유, 천연가스, 기초금속 등 막대한 규모의 자원 수요 충당을 위한 해외자원개발정책 추진, 국제적으로 확산된 지속가능개발정책 트렌드에 따른 친환경 자원개발과 광해방지 사업의 추진 등 다양한 정책들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남북한 간의 자원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들이 전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정부 수립 이후 후 지금까지...